
27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국방AI포럼이 공식 출범하고 우리 군의 AI에 접목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국방AI포럼은 급변하는 기술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 국방이 실질적 경쟁력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 제도 및 기술 윤리적 기준을 함께 정립하고 국방혁신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장이다.
강병준 국방AI포럼 의장은 발족 개회사에서 “AI는 이제 일상뿐 아니라 군의 전력 확보, 전술 운용 정보 분석 등 국방 전 분야에서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면서 “그러나 우리나라는 여전히 선진국과 기술 겨차가 존재하며, 특히 생성형 AI, 인프라 오픈 생태계 분야는 기술성숙도(TRL) 기준으로 1~2단계 뒤쳐져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그 원인으로 △기술 인프라 부족 △전문 인재의 교육 역량의 격차 △데이터 접근성 제약 △정책 및 투자 기반 미흡 등을 꼽았다. 그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맞춤형 정책 설계, 기초 인프라 및 교육 투자, 클라우드 기반 AI 플랫폼 확충, 오픈소스 기술 활용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강 의장은 이어 “국방 AI 포럼은 앞으로 기술·정책·산업·전략을 통합적으로 연계애해 대한민국 국방 AI발전을 이끌어가는 허브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공식 출범한 '국방 AI 포럼'은 첫 공식 행사로 '국방 인공지능 전환(AX) 전략전 추진을 어떻게 할 것인가'를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선 전동근 퀀텀에어로 이사회 의장이 'AI 드론, 전장의 게임 체인저: 검증된 실전 기술과 전망'을 주제로 실제 미국 군수에 적용된 민간 AI 기술을 소개했다.
그는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값싼 자폭 드론이 138억원 에이브람스 전차를 초토화시키고 870억원 규모 러시아 군함을 폭발시켰다”면서 “국방 분야에서 AI 드론은 현실화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미국의 경우 전투기와 다양한 무기체계에 AI를 접목하는 것이 활기를 띠고 있다며 그 중심에 민간 벤처 기업 실드AI가 있다고 소개했다.
실드 AI는 '하이브마인드'란 AI 솔루션을 갖춘 스타트업이다. 2015년 설립된 이 회사는 8조원 가치를 평가받고 있으며 미군의 수직이착륙기, 전투기 등에 '하이브마인드' 솔루션을 탑재해 적용중이다. 전투기의 경우 미군은 2029년 양산 예정해 있고, 2030년 상용화가 이뤄질 전망이다.
전 의장은 “하이브 마인드 엔터프라이즈 툴킷은 재사용이 가능하고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하다”면서 “퀀텀에어로는 이를 기반으로 우리나라 국방 분야 AI 소버린을 만드는데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심병섭 KAI 무인기 개발팀장은 'AI 첨단 무인기 개발의 기술 수준과 격차'를 팔표했다.
심 팀장은 “미래 전투는 신속하고 지속가능한 전투 체계를 갖추는 것은 물론 피해 최소화를 위해 복합 무기 네트워크로 변화하고 있다”면서 “미국과 일본 등 각국은 차세대 공중 전투체계를 빠르게 재편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미군의 경우 편대, 시계의 교전용으로 AI 및 군 전략(M&S)을 개발중으로 F 바이퍼 6대를 자율실증기로 개조해 배치한 상태다. 또 레이더 등 실제 센서가 장착된 항공기를 개조해 센서 정보에 따른 AI 알고리즘의 추론 능력을 향상시키고 있다.
일본 역시 전투기를 보조하는 AI를 활용한 전투 지원 무인기를 개발 중으로 올해 AI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내년부터 시제품 제작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우리나라도 조종사의 지속적인 통제나 제어없이 전장 상황을 스스로 인식하고 분석해 자율적으로 임무수행이 가능한 AI 개발을 추진중”이라며 “이를 통해 전투 비행시 적의 교란, 전장 상황 임무 부여 등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AI는 인지·판단·제어·협업·안전성 분야에서 군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개선시킬 것으로 기대한다”면서 “이는 임무 성공률·생존성·인증 가능성의 동시 최대화를 뜻한다”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회에선 이보형 전드론사령관이 'AI K방산, 과제, 국방 AI기술의 적기전력화 추진', 신재혁 국방기술품질원 책임연구원이 'AI 첨단 무인기 개발의 기술수준과 격차', 조규태 LIG 넥스원 AI 연구개발팀 수석 연구원이 '무기체계 AI 기술 적용방향과 기술기획', 김진우 국방기술품질원 책임연구원이 '국방 AX 전략추진의 발전방향'을 발표하고 토론을 벌였다.
한편 향후 국방AI포럼은 AI로봇, 정책·법령, 민간 협력, 미래전 대응 등 다양한 첨단 국방 이슈를 집중 논의하고 민·관 협력을 바탕으로 국방 정책과 무기체계 구축방향을 제시할 방침이다.
이경민 기자 kmlee@etnews.com
![[포토] AI 국방포럼 출범식 선언하는 강병준 전자신문 대표](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7/news-p.v1.20251127.eefad933a9d74ea389ec0adb4680f83c_P1.jpg)
![[K-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밋 2025]김용진 NHN클라우드 실장, “2026년 공공 클라우드 대전환…'N2SF·무중단'이 표준될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5/news-p.v1.20251125.c90af248df6f4b6bb94c8c1038967fee_P1.jpg)

![[포토] 'AI 대전환, 선언에서 실행으로' 토론회](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26/news-p.v1.20251126.f051d21b4b574921bda534e1068baba1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