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장님, 제 월급이 모자라서요"…직장인 절반, 추가 수입 목적 '부업' 중

2025-11-26

국내 성인 절반가량이 본업 외 부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 불확실성과 생활비 부담이 커지면서 추가 소득을 확보하거나, 본업에서 충족되지 않는 역량·흥미를 부업으로 해소하는 이들이 증가하는 모습이다.

인크루트의 긱워커 플랫폼 ‘뉴워커’가 지난 1~16일 성인 728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부업 참여 여부’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49.5%가 부업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부업을 하지 않는다는 응답(50.5%)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다.

직업군별 부업 참여율은 프리랜서가 73.9%로 가장 높았고, 대학생(57.9%), 자영업자(56.3%)가 뒤를 이었다. 직장인은 48.4%가 부업을 하고 있다고 응답해 절반 가까운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는 30대(57.0%)와 20대(55.2%)가 가장 활발했다.

부업을 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단연 “추가 수입 확보”(82.5%)였다. 이어 △본업에서 자아실현이 되지 않아(6.9%) △시간적 여유(5%) △새 직업 탐색(5%) 순으로 나타났다.

어떤 부업을 하고 있는지 묻는 질문에는 행사·이벤트 진행요원(37.2%)이 가장 많았고, △디자인·번역·시험감독·강의 등 능력 기반 부업(27.5%) △당일 급구 아르바이트(27.2%) △SNS·블로그 운영(20.8%) △배달(12.2%) 등이 뒤를 이었다. 부업을 선택한 이유로는 ‘잘할 수 있는 일’(36.1%)과 ‘평소 해보고 싶었던 일’(23.9%)이 많았다.

부업 선택 시 고려 요소는 ‘시간’이 55.3%로 가장 중요했으며, △수입(25.8%) △일의 종류(11.9%) △장소(5.8%)가 뒤를 이었다. 부업으로 본업 대비 얼마를 더 버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10% 미만”이 48.6%로 가장 많았고, △10~40% 미만(36.9%) △40~70% 미만(11.1%) 순이었다.

반면 부업을 하지 않는 이유로는 ‘부업 정보 부족’이 54.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시간 부족(23.1%) △체력 부족(11.7%) △본업 수입 충분(4.6%) 순이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