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력 2025.04.10 15:29 수정 2025.04.10 15:29 김지현 기자 (kjh@dailian.co.kr)

정부는 10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주재로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를 개최하고 미국의 글로벌 관세부과에 대한 분야별 영향을 점검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미국의 철강·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가 시행 중인 가운데 상호관세 90일 유예 발표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불확실성이 큰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정부는 기존 대응체계를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TF로 확대·운영할 예정이다.
TF는 글로벌 관세부과에 따른 부문별 영향을 심층 분석하기 위해 산하 작업반을 운영하며 금융위(금감원, 정책금융기관), 산업부(산업연구원, 무역협회), 농식품부(aT), 해수부(KMI), 중기부(중진공)등 관련부처와 유관기관·연구기관·협회 등의 협업체계를 적극 활용한다.
특히 부처 간 신속한 정보공유와 공동작업을 통해 관세 피해 분야에 대한 점검과 대응을 논의하는 한편, 글로벌 관세전쟁 동향이 수시로 변하고 장기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따른 무역·산업·공급망 변화 등에 대한 보다 근본적인 해법도 논의할 계획이다.
또 TF의 점검결과는 필요시 장관급 회의체를 통해 논의, 범정부 차원에서 체계적인 대응과 지속적인 후속조치가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김 차관은 관계부처와 함께 최근 외환시장 상황도 점검했다.
김 차관은 “최근 미국 상호관세 부과 등으로 시장 불확실성이 높아진 만큼 정부는 현재 시장 상황을 면밀하게 모니터링하고 있다”며 “국제금융시장 전반 주요 국가들의 상황 등과 비교해 국내 시장 변동성이 지나치게 확대되는지에 대해 경계감을 갖고 살펴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