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대상으로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있다. 특히 중국을 대상으로 하는 보복관세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중국도 영향을 받을 전망이다.
그중에서도 저장성이 가장 큰 충격을 입을 것으로 분석된다.
저장성의 대미 수출 의존도는 2024년 기준 71.4‰로, 중국 전역에서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위챗 공식 계정 ‘즈구 트렌드’가 4월 11일 발표한 분석에 따르면, 저장성(71.4%) 광둥(68.3‰), 상하이(52.4‰), 장쑤(43.9‰), 푸젠(40.9‰), 산둥, 톈진, 충칭, 쓰촨, 허난 등이 상위 10위권을 기록하고 있다.
전반적으로 동부 연해지역이 미국과의 무역 의존도가 높았으며, 중부 내륙 지역도 국제 물류 체계를 기반으로 수출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저장성이 미국 수출에 유독 높은 의존도를 보이는 이유로는, 지역민의 적극적인 해외 진출 성향과 미국 시장에서의 높은 수요로 해석된다.
특히 이우 소상품 시장은 ‘미국 대선의 바로미터’로 불릴 정도로 미국 소비자들의 선호를 반영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면, 광둥성은 홍콩과마카오를 비롯해 동남아와의 지리적 인접성을 활용한 무역이 강점이이다.
장쑤・산둥은 일본・한국과의 연계를, 중서부 내륙 지역인 충칭・쓰촨・허난은 항구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도로・철도・항공 등의 국제 운송 체계를 갖춰 대미 수출에서 일정한 비중을 유지하고 있다.
중국인민대학 자오시쥔 교수는 “트럼프 정부의 첫 임기 당시 중국은 이미 국제 시장의 어려움을 인식했고, 경제 구조 전환이 불가피함을 깨달았다.”고 말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기업들이 기존 수출 경로에 의존하고 있으며, 산업 전환을 꺼리는 경향이 남아 있다고 지적했다.
자오시쥔 교수는 관세 전쟁의 재점화가 오히려 중국 기업들에게 구조 조정을 촉진하는 ‘채찍’이 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저장성은 이미 내수 확대와 함께 산업 업그레이드 노력을 병행하고 있다.
항저우의 AI 기업 딥시크(DeepSeek), 로봇 기업 위수테크놀로지 등은 이러한 혁신을 이끄는 대표 기업이지만 자오 교수는 기술 혁신이 시장에 받아들여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싱가포르 경영대학 푸팡젠 교수는 관세전쟁이 중국에 ‘위기이자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외부 압력이 오히려 중국의 산업 고도화를 가속화할 수 있으며, 미국 중심의 단일 시장 의존에서 벗어나 내수 확대와 시장 다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지난 4월 10일 저장성은 ‘외경무역 고품질 발전 좌담회’를 개최해 기업의 애로사항을 파악하고 국내외 시장 개척을 위한 지원 강화 방침을 밝혔다.
광둥성 역시 상무청 주도로 경제무역 대표단을 구성해 베트남과 말레이시아를 방문하며 무역 다각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푸 교수는 “원저우와 사오싱 등 저장의 내륙 지역은 지형적 제약 속에서도 일찍이 해외 시장으로 눈을 돌린 지역들.”이라며 “이들의 발자취는 유럽과 미국 곳곳에 퍼져 있으며, 저장 상품은 여전히 미국 시장에서 강한 경쟁력을 갖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서 “관세 폭풍이 저장성과 중국 민영기업 전반에 기술 중심의 산업 전환을 강제하게 될 것이며, 일부 기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지만, 살아남는 기업은 더욱 강해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국만을 공략하던 시장은 경쟁력을 잃겠지만, 그 자리를 경쟁력을 가진 더 나은 기업이 다시 채울 것이라는 의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