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도, 정부도 관리하지 않는 무책임 매장"
[서울=뉴스핌] 신정인 기자 = 최근 빠르게 확산 중인 무인식품판매점이 위생관리 부실 문제로 비판을 받고 있다. 특히 식품의약품안전처의 관리·감독이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이주영 개혁신당 의원이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제출받은 '시도별 무인매장 소비기한 위반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올해 9월까지 총 45건의 소비기한 위반 사례가 적발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도별로는 2022년 1건, 2023년 5건, 2024년 26건, 2025년(9월 기준) 13건이 적발됐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16건으로 가장 많았고, 대구 11건, 부산 6건 순이었다. 위반 업소 중 39건은 과태료 부과, 6건은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무인매장은 직원이 상주하지 않아 유통기한 관리나 냉장·냉동 시설 점검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일부 매장에서는 소비기한이 표시되지 않은 제품이 진열돼 있었으며, 냉장고 문이 제대로 닫히지 않거나 온도 경고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아 제품 외부에 성에가 낀 사례도 확인됐다.
위생당국의 관리·감독이 무인판매 시장 성장 속도에 비해 부족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식약처의 연도별 점검횟수는 2022년 1회, 2023년 1회, 2024년 4회, 2025년 2회에 그쳤다.
이 의원은 "무인의 의미가 안전과 책임까지 없다는 뜻은 아니다"라며 "국민, 특히 우리 아이들 먹거리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는 그 어떠한 것도 정당화 될 수 없다"고 했다.
이어 "45건의 적발은 위생 당국의 안일함과 무인 점포에 대한 규제 사각지대를 명확히 보여준 것이며, 실제 위반 사례는 당연히 더 많았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allpass@newspim.com
![[기고] LMO 안전교육 미이행, 생명안전 위협 "형식적 경고 vs 실질적 제재"](https://img.newspim.com/news/2025/09/09/2509091419209090.jpg)




![[예규·판례] ‘된장용 메주’라 신고했는데…45% 관세 부과 사연](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8/art_17640372622975_ab2144.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