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 국내 시설 증설 4조 투자…성장 가속 청사진 제시

2025-11-19

2038년까지 41개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4분기부터 한 차원 향상된 실적 성장 지속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셀트리온은 19일 온라인 간담회를 개최하고 회사의 새로운 도약을 위한 구체적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는 셀트리온그룹 서정진 회장이 직접 발표자로 나서 ▲일라이 릴리 미국 공장 증설 및 향후 활용 계획 ▲국내 신규 생산시설 투자 계획 ▲2038년까지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 41종 확보 ▲비만 치료제, 라이선스-인 등 신약 개발 역량 강화 등 회사의 차세대 성장 비전과 방향성을 설명했다.

▲ 美 공장 인수 즉시 증설 추진, 관세 리스크 근본적 해소

셀트리온은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Branchburg)에 위치한 일라이 릴리의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 인수 작업을 연내 마무리하고, 인수 즉시 대규모 증설에 착수한다. 이를 통해 세계 최대 의약품 시장인 미국 내 공급망을 확보하고, 향후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계획이다.

회사는 인수 완료 후 3년에 걸쳐 1만1000L 규모 배양기 3기를 추가하고, 이후 수요에 따라 같은 규모의 배양기 3기를 더해 총 6만6000L 규모의 생산능력을 확보한다. 인수 및 운영비용 7000억 원 외에 증설에 7000억 원이 추가 투입돼 총 1조4000억 원이 미국 현지에 투자된다.

국내 생산시설 투자도 본격화된다. 송도 캠퍼스 내 액상 완제(DP) 공장 외에 ▲신규 원료의약품(DS) 공장(인천 송도) ▲완제의약품(DP) 공장(충남 예산) ▲PFS(사전충전형 주사기) 공장(충북 오창) 등 총 4조 원 규모의 신규 투자가 추진된다. 국내외 생산기지는 수출 대상과 시장 상황에 맞춰 이원화해 운영할 방침이다.

이들 국내 생산시설 증설에만 약 4조원이 투입될 예정으로, 국내외 투자 균형을 확보하는 한편, 국내 투자 확대를 기반으로 지역 균형 발전에도 기여하게 될 전망이다. 신규 확보되는 국내와 미국 공장은 각각 국가별 상황과 수출 목적에 맞춰 적시에 의약품을 공급하게 된다. 미국 생산시설에서 현지 물량 공급을 소화하고 이외 지역에 공급되는 물량은 주로 국내 공장이 생산을 맡을 예정이다.

▲ 2038년까지 연평균 2~3개 신규 제품 출시, 총 41종 제품 확보

셀트리온은 주력 성장 동력인 바이오시밀러 확대에도 속도를 낸다. 이미 글로벌 주요 시장에서 허가를 확보한 11개 제품을 포함해 2038년까지 총 41개의 바이오시밀러 출시를 목표로 개발을 진행할 계획이다.

먼저 2030년까지 7개의 신규 바이오시밀러를 추가 출시해 총 18개의 바이오시밀러 제품을 상업화할 계획이다. 목표 제품은 ▲키트루다(흑색종) ▲코센틱스(건선) ▲오크레부스(다발성경화증) ▲다잘렉스(다발성골수종) 등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현재 상업화 타임라인에 맞춰 순조롭게 개발되고 있다.

2038년까지 연평균 2~3개의 신규 제품이 출시될 예정으로 총 41개의 제품 라인업을 갖출 전망이다. 특히, 기존에 강점을 보이는 자가면역질환, 항암제 영역에서 파이프라인을 강화하는 동시에, 아토피 피부염, 혈우병, 천식, 발작, 면역항암 등 새로운 영역의 치료제를 대폭 확대하게 될 전망이다. 이에 따른 글로벌 시장 확대와 영향력 강화도 기대된다.

회사는 제품 파이프라인 확대와 별개로 이미 출시된 제품에 대해서는 신규 제형 변경 등 제품 차별화를 통한 경쟁력 확보로 양적·질적 성장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 ADC·다중항체·비만 치료제 신약으로 '퀀텀 점프'

신약 부문에서는 항체-약물접합체(ADC), 다중항체, 비만 치료제 개발을 차세대 성장축으로 제시했다.

셀트리온은 현재 총 10종 이상의 신약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내년에는 4종이 임상 단계에 돌입한다. 특히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확보한 ▲FcRn 타깃 단백질 ▲삼중항체 플랫폼 ▲ADC 플랫폼 ▲공간전사체 플랫폼 등 핵심 기술을 활용해 수십 개 신약으로 확장 가능한 기반을 마련했다.

비만 치료제의 경우 4중 타깃 작용제 'CT-G32'를 개발 중이다. 기존 GLP-1 계열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한 차세대 물질로, 근손실 부작용을 개선하면서 체중감소율 25%에 달하는 효능을 목표로 하고 있다. 회사는 2026년 전임상 진입을 목표로 물성·독성평가를 진행 중이다.

▲ 4분기부터 한 차원 향상된 실적 성장 지속

셀트리온은 올 4분기를 기점으로 직전 3분기 대비 큰 폭으로 성장한 매출과 이익을 달성해 나갈 것으로 전망했다.

올 3분기 대비 최소 30% 이상 신장된 매출액, 30%대 중반의 매출원가율, 40% 내외 수준의 압도적인 영업이익률 개선 등 주요 실적 지표에서 모두 압도적인 성장세를 달성할 것으로 예상된다. 합병에 따른 일시적 비용 부담 요인이 지난 3분기를 기점으로 종료됐고, 기존 주력 제품들의 글로벌 판매가 안정적인 가운데, 새롭게 출시된 고수익 신규 제품들의 가파른 성장세가 더해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고수익 신규 제품의 가파른 성장세가 주목을 받고 있다. 3분기 미국과 유럽에 각각 신규 출시된 '스토보클로-오센벨트'(성분명: 데노수맙), '옴리클로'(성분명: 오말리주맙)는 현지에서 호평을 받으며 가파른 처방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연말에는 '아이덴젤트'(성분명: 애플리버셉트)와 '스토보클로-오센벨트'가 유럽 시장에 신규 출시돼 매출 확대에 기여할 예정이다.

셀트리온은 2038년까지 41개의 바이오시밀러 상업화 제품을 타깃하고 있는 가운데, 현재 판매 중인 11개 바이오시밀러를 제외할 경우 연평균 2~3개씩 13년 간 총 30개의 고수익 바이오시밀러를 꾸준히 추가해 나갈 예정이다. 고수익 신규 제품 상업화 계획은 안정적인 신약 개발로 이어져 셀트리온의 '실적 턴어라운드' 전략을 성공적으로 뒷받침할 것으로 전망된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유럽, 미국 등 글로벌 주요 제약 시장에서 고수익 신규 제품들이 큰 호평 속에 가파른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는 만큼, 올 4분기를 기점으로 기존과는 차원이 다른 실적 성장이 매분기 마다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실적 성장을 기반 삼아 셀트리온의 새로운 도약을 이끌 신사업들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임직원 모두 최선을 다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sykim@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