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종사자 안전 환경이 감염병 최소화 직결”…안전보건·폐기물 관리 표준 만든다

2025-02-18

정부가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의료종사자 건강권을 보장하는 방안을 마련한다. 감염병 진료 후 발생하는 폐기물 실태도 파악해 환경 친화적인 의료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국립중앙의료원은 최근 감염병 의료 대응역량 강화를 위한 직업 환경 보건연구 용역에 착수했다. 내년 말까지 감염병 위기 대응 과정에서 나타난 의료종사자 근무 환경과 의료폐기물 처리 실태를 조사하고, 표준화된 관리 지침을 개발한다.

중앙의료원이 의료종사자 직업 환경을 살피는 것은 이들의 건강권 확보가 지속가능한 의료체계 구축에 선제 조건이라는 판단에서다. 앞서 지난 2015년 메르스 국내 유행 당시 전체 확진자 186명 중 의료기관 근로자가 39명을 차지하면서, 의료기관 근로자 건강 문제가 대두됐다.

이후 코로나19 대유행 대응 과정에도 종사자 건강권이 우선순위에서 밀리긴 마찬가지였다. 보건복지부는 감염병 의료 안전강화 기술개발사업을 운영하며 의료진과 환자 보호를 위한 장비 개발 등을 지원했지만, 근무제도까지 개선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었다. 감염병 확산 방지를 이유로 버려지는 의료폐기물 역시 환경·생태계에 부정적 영향을 가속화했다.

이에 이번 연구에서 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지역 병·의원, 요양병원 등 규모와 종별 특성뿐만 아니라 입원·외래·수술·처치·검사실 등 서비스 특성에 따른 근무환경 실태를 조사한다. 교대 근무 유형, 시설 환기, 동선 분리 등을 고려한 근무환경 내 안전보건 표준을 내년까지 도출하기로 했다.

감염병 환자 진료에서 발생한 생물학·화학 유해 폐기물은 병원 규모별 처리 과정에 발생량을 파악한다. 환경 영향을 최소화하는 관리 표준을 만들고, 대형병원 시범 운영으로 실효성을 따지는 것까지 용역 목표로 삼았다.

중앙의료원은 이번 연구를 교육 프로그램으로 활용하는 것은 물론 국제협력 자료로도 활용할 계획이다.

중앙의료원 관계자는 “감염병 위기상황에서 의료종사자 건강이 위협받으면 전체 의료시스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지만, 종사자 보호 관련 연구는 부족했다”면서 “지속가능한 보건의료체계를 유지하기 위해 이번 연구를 수행, 국가 보건정책 개발과 실제적인 대응방안 마련에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