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양1963’은 단순한 복고 제품이 아닌 명예의 복원이자 진심의 귀환입니다”
김정수 삼양식품(003230) 부회장은 3일 서울 중구 보코서울명동 호텔에서 신제품 ‘삼양1963’을 직접 공개하며 이같이 말했다. 과거 ‘우지(牛脂·소기름) 파동’으로 위기를 겪었던 삼양식품이 우지 라면을 부활시키며 과거 트라우마를 극복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이번 신제품은 1963년 국내 최초의 라면인 삼양라면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했다. 과거 제조 레시피를 따라 면을 튀길 때 우지를 사용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동물성 우지와 식물성 팜유를 최적의 비율로 혼합한 골든블렌드 오일로 면을 튀겨 고소한 풍미를 구현했다. 국물은 사골 육수 기반의 액상스프에 무, 대파, 청양고추를 더해 깔끔하고 얼큰한 맛을 완성했다.
김 부회장은 36년 만에 우지 라면을 다시 선보인 배경으로 창업 정신의 계승을 강조했다. 그는 “우지 라면을 언젠간 꼭 다시 만들겠다는 일종의 숙명이 존재했다”며 “삼양이 글로벌 브랜드로 성장하면서 내부 자신감이 커졌다”고 했다. 그러면서 “(신제품 출시를 통해) 제 시아버님이신 고(故) 전중윤 명예회장의 한을 조금이나마 풀어드리고 그분의 정신을 이어갈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울림이 크다”고 소회를 밝혔다.
신제품을 공개한 이날은 삼양식품 역사의 가장 큰 시련으로 꼽히는 우지 파동이 발생한 1989년 11월 3일로부터 정확히 36년이 되는 날이다. 당시 삼양식품 등 라면 업체들이 공업용 우지를 쓴다는 제보가 검찰에 접수되면서 소비자 신뢰가 급격히 추락했다. 이후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는 우지 라면이 인체에 무해하다고 공식 발표했지만 삼양식품의 이미지는 쉽게 회복되지 못했다. 삼양식품은 우지라면을 회수·생산 중단하고 그 뒤로 식물성 팜유만을 사용해왔다. 1960년대 국내 시장 점유율 80%대로 1위를 차지했던 삼양식품은 우지 파동 이후 점유율이 10%대까지 떨어졌다.
삼양식품은 팜유보다 단가가 높은 우지를 사용해 삼양1963을 첫 프리미엄 제품으로 선보였다. 이를 통해 ‘K라면의 원조’ 생산업체로서의 정체성을 내세워 내수시장에서 옛 명성을 되찾겠다는 전략이다. 불닭볶음면에 대한 매출 의존도를 낮추고 제품 포트폴리오를 확대하려는 시도도 담겼다.
삼양식품은 사상 처음으로 올해 매출액 2조 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되고 국내 식품업계 최초로 시가총액 10조 원을 돌파했지만, 불닭볶음면의 매출 비중이 80%에 달하는 등 불닭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다는 지적을 받아왔다. 대표 국물 라면 제품이 없고 국내 점유율이 농심과 오뚜기에 뒤쳐지는 점도 약점으로 꼽힌다.
채혜영 삼양부문장은 “우지는 팜유보다 원가가 두 배 이상 비싸다”면서도 “그럼에도 맛있고 영양가 높은 제품을 만들자는 마음에 프리미엄 제품을 내기로 결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수출도 당연히 생각하고 있다”며 “기존 삼양라면의 매출을 넘어서는 게 목표”라고 덧붙였다.
![[현장] 삼양식품, ‘소기름 라면’ 다시 끓인다…36년 만의 명예 회복 선언](https://image.mediapen.com/news/202511/news_1054582_1762145792_m.jpg)



![[종합] 삼양식품, 우지 라면의 귀환…"내수 시장 잡는다"](https://img.newspim.com/news/2025/11/03/2511031615574120.jpg)

![[세계의 한입] ⑤ "K-디저트 가로막는 유제품 검역…시장 분석 필요"](https://img.newspim.com/news/2025/11/02/2511021748036460_w.jpg)
!["초록색 빼빼로, 무슨 맛일까"…한정판 ‘말차 빼빼로’ 먹어보니 [신상 언박싱]](https://newsimg.sedaily.com/2025/11/02/2H0AQGC0Y9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