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항복' 선언한 애플...삼성 빅스비도 안심 못 한다

2025-07-06

스마트폰 비서에 초거대 AI 이식 경쟁

애플은 챗GPT·클로드, 삼성은 퍼블렉시티와

구글 의존도 줄이며 온디바이스 AI 사수

[서울=뉴스핌] 서영욱 기자 = 삼성전자와 애플이 스마트폰 인공지능(AI) 비서를 대대적으로 손질하기로 하면서 기술 경쟁에 다시 불이 붙었다. 자체 기술로 키워온 빅스비(삼성)와 시리(애플)가 한계에 부딪히자, 챗GPT 등 초거대 AI를 과감히 끌어들이며 사실상 '두뇌 교체'에 나서면서다. 구글 중심의 검색·광고 생태계를 흔드는 동시에, 온디바이스 AI로 자사 생태계 주도권까지 굳히려는 복합 전략이 맞물린 움직임이다.

◆빅스비·시리에 초거대 AI 수혈

4일 업계 및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오픈AI(챗GPT), 앤트로픽(클로드)과 협의하며 시리의 핵심 엔진에 외부 대형언어모델을 도입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다. 양사의 주력 모델을 애플의 자체 서버(프라이빗 클라우드)에서 작동 가능하도록 맞춤형으로 설계해, '프라이버시 중심 AI' 기조를 유지하면서도 최신 AI 성능을 확보하겠다는 전략이다.

애플은 자체 파운데이션 모델을 중심으로 독자 AI를 키워왔지만, 시리의 느린 반응 속도와 낮은 활용도에 내부적으로도 외부 기술 도입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된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iOS 18부터는 시리가 복잡한 질문에 챗GPT를 호출해 답변하는 구조를 도입했고, 향후 iOS 27에서는 아예 외부 LLM 기반으로 시리가 재편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삼성전자도 같은 흐름에 올라탔다. 외신 보도에 따르면 삼성은 최근 미국 AI 스타트업 퍼플렉시티(Perplexity)와 협력을 추진하며, 이르면 연내 갤럭시 S26 시리즈에 퍼플렉시티의 AI 어시스턴트를 탑재하는 방안을 확정할 계획이다.

이 보도에 따르면 삼성은 퍼플렉시티의 앱과 검색 기능을 갤럭시 스마트폰에 사전 설치하거나 삼성 웹브라우저에 통합하고, 빅스비에 퍼플렉시티의 기술을 적용하는 방안까지 폭넓게 협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과정에서 삼성은 퍼플렉시티의 기업가치를 약 140억 달러(약 19조 원)로 평가하고, 최대 5억 달러(약 7000억 원)를 투자해 최대 투자자로 참여하는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빅스비·시리, 초거대 AI에 밀려나...구글 의존도 탈출도 과제

이 같은 흐름이 빨라진 이유는 기존 빅스비와 시리가 챗GPT, 클로드 등 초거대 AI에 비해 대화 이해력과 추론 능력이 크게 뒤처지기 때문이다. 기존 AI 비서는 음성 명령을 알아듣고 일정 등록이나 날씨 안내 정도에 그쳤다. 반면 챗GPT 같은 LLM은 방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복잡한 질문도 자연스럽게 소화하며 대화를 이끈다.

특히 자체 LLM을 단기간에 챗GPT 수준으로 키우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현실적 판단도 작용했다. 애플은 내부적으로 시리 엔지니어를 대거 충원했지만, 변화 속도가 워낙 빨라 검증된 모델을 빌려 쓰기로 방향을 틀었다. 삼성전자 역시 여전히 빅스비 강화 작업을 병행하고 있지만, 결국 퍼플렉시티 같은 외부 파트너와 손잡아 경쟁력을 끌어올리려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기에 구글 의존에서 벗어나려는 전략도 있다. 애플과 삼성은 그간 스마트폰 검색과 광고 생태계를 사실상 구글에 내줬다. 사용자가 구글에서 첫 검색을 하면 이후 구매, 콘텐츠 소비로 이어지는 데이터 가치 사슬도 구글에 집중됐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에서 처음 시작하는 검색과 AI 비서가 구글이 아닌 삼성·애플의 시스템에서 돌아간다면, 이후 이어지는 소비 데이터도 자연히 이들의 손에 남게 된다.

◆온디바이스 AI로 자존심 지키며 주도권 경쟁

그렇다고 해서 삼성전자와 애플이 자체 AI 기술을 포기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은 구글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외부 AI와 협력하면서도 온디바이스 AI를 절대 놓지 않겠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기기 내부에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온디바이스 AI는 개인정보 유출 우려를 줄이고, 인터넷이 없어도 고성능 AI 기능을 쓸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삼성전자가 올 초 출시한 갤럭시 S25 시리즈는 온디바이스 AI를 전면에 내세웠다. 삼성은 갤럭시 S25에 장착된 퀄컴의 최신 칩과 자체 최적화를 통해 실시간 음성 명령, 멀티모달 AI, 이미지 자동 보정 등 다양한 기능을 기기 내에서 직접 구현하고 있다.

지난 3월 열린 '갤럭시 AI 테크 포럼'에서 퀄컴의 크리스토퍼 패트릭 모바일 핸드셋 부문 부사장은 "삼성전자와 협력해 AI 경험을 더욱 강력하고 자연스럽게 만들었다"며 "온디바이스 AI는 AI 최적화의 핵심 요소"라고 강조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3월 발표한 사업 전략에서 AI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자체 온디바이스 AI 기술을 개발하고, 구글 등 글로벌 빅테크와 협력해 AI 혁신을 가속화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에서는 이번 AI '두뇌 교체'가 단순히 스마트폰 기능 강화 차원이 아니라, 구글이 장악해온 디지털 생태계 주도권을 되찾기 위한 전략적 행보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과 애플 모두 외부 AI로 경쟁력을 끌어올리면서도 온디바이스 AI를 강화해 결국 자사 생태계를 지키려는 전략"이라며 "AI 비서는 이름만 같을 뿐, 내부는 완전히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syu@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