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예산을 투입해 마련하는 노인 일자리가 역대 최대치인 115만여개로 늘어난다.
27일 보건복지부는 내년도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참여자를 오는 28일부터 다음달 26일까지 모집한다고 밝혔다. 노인이 사회참여를 통해 생산적인 노후를 보낼 수 있게 지원하는 취지로 시작된 노인 일자리 사업은 2004년 첫발을 뗀 이후 규모가 빠르게 확대됐다.
2004년에는 예산 212억원으로 2만5000개 일자리를 제공했으나, 20여년 만인 내년에는 2조3851억원을 투입해 115만2000개 일자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규모가 커졌다. 올해(2조1847억원, 109만8000개)와 비교하면 예산을 약 2004억원을 증액해, 일자리 수가 4.9% 늘어나는 규모다.
노인 일자리는 크게 ▶공익활동형(월평균 30시간 근무, 29만원) ▶역량활용형(월평균 60시간 근무, 76만1000원) ▶민간형 등으로 유형이 나뉜다.
공익활동형은 만 65세 이상 기초연금 수급자를 대상으로 하며, 주로 지역사회에 도움이 되는 사회참여 활동(보육시설 봉사, 노인돌봄 등)을 수행하는 일자리다. 전체 노인 일자리의 61.5%로 가장 비중이 크다. 내년엔 올해 대비 1만7000개 늘어 70만9000개가 제공된다.
역량활용형(구 사회서비스형) 일자리는 은퇴 전 직장에서 쌓은 경력·역량을 활용할 수 있어 ‘베이비붐 세대’에 적합한 유형이다. 공공행정 업무지원, 교육시설 학습보조 지원 등의 활동을 하게 된다. 올해보다 3만6000개를 늘려 20만7000개 공급된다. 이밖에 정부가 민간에 취업을 알선하는 등의 민간형 일자리는 23만6000개 제공된다.

노인 일자리 숫자가 늘면서 안전사고도 증가하는 점은 풀어야 할 숙제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에 따르면 노인일자리 사업현장에서 발생한 안전사고는 2020년 2048건에서 2024년 4036건으로 증가했다. 복지부 관계자는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613명의 안전 전담 인력을 확보했다. 전체 사업장의 절반 정도에 배치할 수 있는 숫자”라며 “안전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은 곳에 우선 배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매년 일자리를 늘리고 있지만, 수요를 쫓아가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노인 일자리 참여 대기자는 매년 10만명대 안팎에 달한다. 이에 정부는 노인 일자리를 2030년 130만개 수준으로 확대해, 전체 노인 인구의 10% 이상 규모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특히 경력이 풍부하고 사회참여 욕구가 큰 신(新) 노년세대에 보다 적합한 역량활용형·민간형 일자리 비중을 늘려간다는 목표다. 복지부 관계자는 “내년에 두 유형 일자리가 전체의 38.5%로 비중이 커진다”며 “2030년까지 전체의 42%로 상향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여를 희망하는 어르신은 오는 28일부터 주소지 시군구 내 가까운 행정복지센터(동사무소), 시니어클럽 등을 방문해 신청할 수 있다. 노인 일자리 상담 대표 전화(1544-3388)로 문의하면 상세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홈페이지(www.seniorro.or.kr)를 통한 온라인 신청도 가능하다. 소득 수준, 활동 역량 등 선발기준에 따라 고득점자 순으로 선발되며, 최종 선발 여부는 접수한 기관에서 개별 통보한다.
정은경 복지부 장관은 “노인일자리는 노년기 소득에 보탬이 되고 삶의 만족도 증가, 우울감 개선, 의료비 절감 등의 효과가 있다”며 “많은 분이 노인 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길 기대한다”고 밝혔다.




![[장욱희의 중장년 취업에세이] 중장년 퇴직 이후 성공적인 경력관리의 출발점은?](https://img.newspim.com/news/2024/11/07/241107093437985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