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상무장관 “일본 대미투자, 절반은 전력·에너지···상무부가 취업 비자 발급할 것”

2025-10-28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이 일본이 미국과 관세 합의 과정에서 약속한 5500억 달러(약 791조원) 규모 대미 투자와 관련해 절반 이상이 전력, 에너지 개발에 사용될 수 있다고 밝혔다. 대미 투자 기업들의 걱정거리가 된 미국 취업 비자 문제와 관련해서는 투자 창구인 상무부가 관여할 뜻을 드러냈다.

러트닉 장관은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이 28일 공개한 인터뷰에서 일본의 대미 투자금 활용 방안과 관련해 “일본과 미국의 경제안보를 위한 공동 투자”라며 이같이 밝혔다.

러트닉 장관은 전력, 조선 등과 관련된 10∼12개 업체가 대미 투자 사업을 검토하고 있으며 올해 안에 1호 사업이 결정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투자액을 “발전, 파이프라인 등 리스크 제로 인프라에 투입할 것”이라며 “제1호 사업은 전력 분야가 될 것”이라고 했다. 일본 기업은 데이터센터 확장으로 전력 수요가 증가한 미국에 변압기, 냉각 시스템 등을 공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닛케이는 해설했다.

러트닉 장관은 또 알래스카주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도 대상이 될 수 있다면서 “거대 사업이지만, 일본이 참여하면 LNG를 인수할 권리를 얻어 에너지 측면에서 자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일본에 투자액 증액은 요구하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러트닉 장관은 일본이 미국에 투자할 곳을 검토하는 투자위원회 의장을 맡고 있다. 닛케이와의 인터뷰는 이날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와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전날 저녁 주일 미 대사관에서 약 40분 간 이뤄졌다.

러트닉 장관은 트럼프 행정부 들어 강화된 미국 취업 비자 취득과 관련해 “공장 건설이나 미국인 연수를 위해 미국에 오기를 희망하는 직원의 명단을 (기업이) 제출하면 상무부가 비자를 발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통상 비자 발급은 국무부 담당이지만, 외국 기업의 대미 투자 창구 역할을 하는 상무부가 투자 이행 속도를 높이기 위해 앞으로는 관여한다는 뜻이라고 닛케이는 짚었다. 지난 9월 미국 조지아주 현대자동차·LG에너지솔루션 합작 배터리 공장에서 미 이민 당국에 의해 대규모 한국인 구금 사태가 발생하면서 대미 투자 기업들 사이에서 우려가 커진 상황이었다고 신문은 해설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