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동-TYM, 매출 약 60% 북미 트랙터 시장 점유율 10% 달성 목표
대동, 美 서부 지역 적극 공략
TYM, 신제품 출시·전략적 투자로 북미 시장 공략
[서울=뉴스핌] 송은정 기자 = 농기계 업체 대동과 TYM이 북미 시장 공략으로 실적 개선에 나선다. 양사는 매출의 약 60%를 차지하는 북미 트랙터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대동은 동부 중심이었던 북미 사업을 전역으로 확대하기 위해 워싱턴주 텀워터에 신규 창고를 개설하고 서부 지역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TYM은 신제품 출시와 전략적 투자를 기반으로 북미 시장 공략에 나선다.

2일 업계에 따르면 TYM은 북미 시장의 경우 전략적 투자를 기반으로 반등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해 미국 펜실베니아 블룸스버그에 오픈한 'TYM Northeast Campus'를 통해 중소형 트랙터가 주요 시장인 북동부 지역에서 물류 효율을 극대화함으로써 시장 경쟁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TYM 브랜드 및 파트너십 강화와 지속적인 신제품 출시로 올해 북미 시장 점유율 10% 초과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외에도 북미 시장에 집중되었던 글로벌 매출을 더욱 다변화하기 위해 유럽 법인 중심으로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농업 솔루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유럽 현지 맞춤형 과수용 트랙터와 이익률이 높은 115~130마력대 신제품 등 대형 마력대 판매에 집중해 유럽 모든 거점 국가 시장 점유율 10%를 달성한다는 방침이다.
TYM 관계자는 "올해 북미 지역에서 시장 점유율 10% 이상을 목표로 하는 동시에, 유럽 법인을 통해 글로벌 시장을 다변화하고 품질 개혁을 기반으로 국내에서 고객 만족도 1위를 달성하는 등 실적 개선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고객과 더욱 가깝게 소통하며 시장이 요구하는 신제품을 지속적으로 출시하고, 글로벌 파트너십을 강화해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는 등 차별화된 시장 경쟁력을 갖춘 기업으로 성장하겠다"고 말했다.
대동의 북미 시장 점유율은 8.7%로 올해는 북미 현지 시장 점유율 '10% 이상 달성'을 목표로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기존 동부 지역 중심으로 사업 영역을 북미 전역으로 확대하기 위해 워싱턴주 텀워터에 신규 창고를 개설하고 서부 지역을 적극 공략할 방침이다. 또한 북미 시장을 미국 4개 지역, 캐나다 5개 구역으로 세분화해 각 지역마다 재배되는 주요 품종과 수요가 높은 트랙터 라인을 자체적으로 분석했다. 이를 기반으로 대동은 지역별 특화 프로모션을 진행해 점유율을 확대할 예정이다.
국내 시장은 2020년부터 준비한 미래 사업 아이템인 자율 작업 농기계 및 농업 로봇, 정밀 농업, 커넥티드 서비스 등을 국내 시장에 본격적으로 제공해 시장을 공략할 방침이다. 지난 2월 약 4년간 실증 사업을 진행한 정밀 농업 서비스 솔루션을 공식 출시하고 1호 계약 고객을 확보했다.
또한, 국내 농업 인구 고령화 및 감소 문제를 선제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업계 최초 농업용 운반 로봇 RT100을 공식적으로 출시했다. 해당 로봇은 기존 과수 농가가 사용하고 있는 내연 기관 운반차가 갖고 있던 한계점인 작업자 탑승 및 조작으로 인한 작업 피로감과 매연, 소음 등 농업 현장의 애로사항을 해소하고 새로운 작업 환경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농업의 로봇화를 앞당기고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계획이다.
대동과 TYM은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이 모두 감소했다. 대동은 지난해 매출 1조4128억원으로 전년보다 1.4%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165억원으로 75% 급감한 것으로 집계됐다. TYM은 지난해 연결기준 잠정 영업이익이 전년 대비 80% 감소한 153억원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7887억원으로 전년(8365억원)보다 5.7% 줄었다. 영업이익은 765억원에서 153억원으로 80%나 감소했다. 당기순이익은 186억원으로 전년(604억원)보다 70% 가까이 급감했다.
TYM은 실적 감소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가장 큰 북미 농기계 시장이 고금리 기조 지속 및 소비자들의 구매 심리 위축 등으로 전년 대비 약 14% 감소해 TYM의 글로벌 사업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는 북미 시장 매출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어려운 상황에서 북미 시장 점유율 확보를 위해 프로모션 장려금을 확대했다"며 "해상 운송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 있어 영업이익이 다소 크게 감소했다"고 덧붙였다.
대동은 "글로벌 농기계 시장 침체 속 주력 시장인 국내, 북미, 유럽 등이 2023년에 대비해 2024년 평균 10% 가량 축소됐다"며 "고금리로 인한 이자 비용과 해운 운임비의 상승, 인건비를 비롯한 미래 사업 투자 비용이 증가하면서 영업이익이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yuni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