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전문대학교육협의회(전문대교협)는 최근 전문대학의 교육 마스터플랜을 모색하고 구성원 의견 수렴을 위한 '전문대학 미래전략 라운드테이블'을 개최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달 30일 열린 회의에는 전문대학 관련 협의체 관계자 18명, 외부 위원 3명, 전문대교협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했다.
토론 주제는 '고등직업교육의 미래 비전과 전략'을 주제로 △전문대학, 누구를 위한 교육 기관인가 △전문대교협의 개선 방향 △RISE체계에서 전문대학의 역할 등에 대해 다뤘다.
특히 이날 토론에서는 고등직업교육의 체계적 정체성 확립을 위한 '직업교육기본법' 제정의 필요성이 제시됐다. 변창우 한국전문대학기획실·처장협의회장은 “고등직업교육과 전문대학 법적 지위 명확화 등 국가 책무성 확보를 위해 직업교육법 제정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전문대학 교원 자격 기준 시 채용 완화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이상희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발전협의회 성과관리위원장은 “향후 고등직업교육 강화를 위해서는 학위가 없는 오랜 경력의 업계 전문가도 채용할 수 있는 법령 개정 등도 정부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용기 전문대교협전문위원회장은 “전문대학 무상교육을 공론화하고 추후 정책 의제로 삼아야 할 시점”이라며 전문대학 무상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김영도 전문대교협 회장은 “향후 전문대학의 경쟁력 강화와 미래를 위한 전략에 대해 스스로 화두를 던지고 고민해야한다”면서 “이번 토론 결과를 바탕으로 분야별 소주제 중심 회의를 통해 더 다양한 현장 의견을 수렴할 수 있게 하겠다”고 전했다.
이지희 기자 easy@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