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주목받는 '실시간 재해복구'…신중 접근해야

2025-10-13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재해복구(DR) 체계 중요성이 높아진 가운데, 전문가들은 향후 대책을 마련함에 있어 공공 시스템 전반을 고려한 DR 체계가 마련돼야 함을 강조한다.

실시간성(액티브-액티브·AA) DR를 통해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안이 이상적이지만 현실적 상황을 고려한 차분한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국가인공지능(AI)전략위원회, 행정안전부 등 정부가 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 대책 마련을 위해 논의를 진행 중인 가운데, 이번 대책 핵심 중 하나는 DR 체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이번 화재 사고에서 DR체계가 제대로 갖춰졌더라면 빠른 복구가 가능했을 것이라는 지적이 지속 제기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화재 피해를 입은 대전본원 전체 시스템 가운데 100% DR 체계를 갖춘 시스템은 5%도 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문가들은 DR 체계를 전면 재검토하되 AADR에만 집중해선 안 된다는 것을 지적한다.

DR은 '미러사이트(액티브-액티브 구축·실시간 복구)', '핫사이트(액티브-스탠바이·4시간 이내 복구)', '웜사이트(부분 복구, 수주)', '콜드사이트(최소 복구, 최대 수개월)' 로 구분된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센터와 서버·네트워크·스토리지 등 전 시스템을 100% 동일하게 구현하는 DR센터를 구축하는 것이 미러사이트(AADR) 개념이다. 평상시에도 DR센터를 가동, 재해로 인해 시스템 가동이 멈추더라도 DR센터에서 실시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DR의 가장 이상적 개념이다.

그러나 이 방식은 주센터와 동일한 센터를 물리적으로 떨어진 곳에 지어야 한다는 점에서 비용이 상당하다. 기술적으로도 아직 완벽에 이르지 못했다는 게 전문가들 분석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국내 금융사 가운데 AADR을 완벽하게 구현한 사례는 거의 없다”며 “특히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동기화한다는 것은 고난도의 기술로, 대부분 핫사이트 방식으로 구현하고 실시간성에 준하게 간극을 줄여가는데 기술을 도입하는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행안부와 국정자원 역시 이 부분을 인지하고 있었다. 2023년 행정망 사태 이후 AADR 도입 필요성을 종합 대책에 담았지만 충분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이를 위해 국정자원이 올해 내부 시스템(n-Tops)에 AADR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와 별개로 행안부는 1등급 시스템 중 하나인 '통합지방재정시스템'을 대상으로 실제 원격지에 DR센터를 구축, AADR 일부를 구현하는 사업을 발주냈다. 응용프로그램(AP) 단에서 AADR을 우선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 DR 전문업체 대표는 “현재 정부나 정치권에서 AADR에만 집중하는데, DR이 구현되기 위해 필수인 데이터 백업 주기와 RTO(복구 시간 목표), RPO(복구 시점 목표) 등이 제대로 이뤄지고 있는지 기본부터 확인하고 미 이행시 필요한 조치 등도 강구해야 한다”며 “클라우드 DR 등 비용 대비 효과가 있는 DR 방안도 다양하게 고민해야지, AADR이 만능이란 식의 논리와 주장은 현실적 해결책이 될 수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