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돌봄의 의미

2024-10-22

미래사회가 마하(Mach)의 속도로 오고 있다. 매일 새로운 기술 개발 소식이 뉴스를 가득 채운다. 그만큼 우리가 맞이할 미래사회는 현재의 모습과는 많이 다를 것이다. 전문가들은 미래사회를 결정하는 변수를 인구구조, 기후위기, 융합기술(첨단기술) 세 가지로 설명한다. 원광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김흥주교수는 인구구조의 변화추이에 따른 생산가능인구의 급격한 변화에 대해 설명하며, 2024년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인 0.78명이 이대로 계속된다면 2020년 기준 3,762만 명인 생산가능인구는 2070년 1,533만 명으로 감소하게 될 것이며, 이는 사회 재생산의 불가함을 의미한다고 설명한다. 현재 수준인 3,700만 명 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합계출산율이 2.1명은 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구조로 보았을 때 그럴 가능성은 매우 희박해 보인다. 미래사회를 결정하는 두 번째 변수는 기후위기이다. 지난 10년간의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 추이를 살펴보면, 12.8°C 이었던 2014년의 연평균 기온이 2023년에는 13.7°C 로 상승했다. 기록적인 폭염이 계속된 2024년의 연평균 기온은 더 높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이러한 기후의 변화는 단순한 변화를 넘어서서 ‘위기’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우리나라 국민의 주식인 쌀의 재배만 보더라도 유례없는 고온으로 생산성은 떨어지고, 벼멸구와 같은 병충해 피해도 심각하다. 이는 식량의 재배 조건이 앞으로는 스마트팜과 같은 첨단기술을 요함을 의미한다. 당연하게도 이는 식량의 생산비 증가로 이어지고 있으며 농업을 자본집약적 산업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또한 이는 식량안보 문제와 깊은 관계가 있으며 인간의 보편적 권리인 ‘먹거리기본권’ 문제와 직결된다. 기후재난과 더불어 코로나19와 같은 신종 감염병 또한 미래사회를 결정짓는 주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세 번째 변수인 융합기술(첨단기술)은 자동화와 인공지능의 활용으로 노동과정의 변화, 즉 인간노동의 대체와 전환을 일으키고 있다. 또한 스마트팜, 원격진료와 같은 산업구조의 변화를 불러올 것이며, 가상공간과 비대면 관계의 확대, 초개인화 사회 등 사회구조의 변화를 유발한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이러한 변화에는 첨단기술의 일상화, 가상공간의 확대 등 긍정적인 측면도 존재하지만 분절과 갈등과, 불신이 증폭되는 상태, 디지털 격차, 부의 집중화 등 부정적인 측면도 동시에 존재한다. 김흥주교수는 기술변화에 따른 미래사회를 ‘개인화된 사회’, ‘파편화된 사회’, ‘계층화된 사회’라고 정의하였다. 이는 2030세대의 자발적 선택에 따른 비혼, 가족의 해체, 공동체의 붕괴를 의미하고 이러한 현상은 사회의 분절과 폐쇄, 혐오를 양산한다. 이러한 미래사회의 부정적인 현상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러한 부정적 측면을 해소할 수 있는 미래사회 구성원의 능력에 대해 김교수는 조화, 이해, 감성, 연대와 같은 ‘교감력’과 분석적이고 비판적인 사고, 사회적 책임감을 키우는 문제해결 능력, 지속적인 학습 및 적응능력과 같은 ‘통찰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한다. 결국 개인화, 파편화, 계층화된 사회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돌봄’의 실천에 있다. 각종 인프라가 취약한 농촌지역에서는 더욱 그렇다. 돌봄은 인류만이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고 어쩌면 지역사회의 돌봄 능력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서 인류가 자존감을 지킬 수 있는 마지막 보루일지 모른다.

구준회 농촌사회학 연구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지역사회 #돌봄 #사회복지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