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Q. 귀사의 주력사업, 경쟁력 등 간략한 회사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유진로봇은 제조업, 자동차, 반도체 등 다양한 분야에 공장 자동화 시스템 및 물류 로봇을 공급해온 35년 이상의 업력을 보유한 기업으로, 고중량 공정 자동화 로봇, 커스텀 AMR 등 고객 맞춤형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자율주행 로봇 GoCart(고카트)는 유럽 수출을 위한 국제 표준 인증 ‘ISO 13482’를 획득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제품으로, 국내 기업 중 유일하게 미국 및 유럽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또한, 유진로봇이 자체 개발한 FMS(Fleet Management System)과 연동해 엘리베이터, 자동문 등과도 연계하여 스마트 인터페이스 구축이 가능합니다.
Q. 회사의 주요 솔루션에 대한 자세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A. 당사는 공장 조립 자동화 설비, 공장 물류 자동화, 창고 물류 자동화 등을 위한 토탈 스마트팩토리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유진로봇은 35년간 다양한 제조 현장에서 공장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 및 공급하며 높은 신뢰도를 쌓아왔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자율주행 AMR(고카트)을 결합해 제품 이송부터 생산까지 One-Stop Solution을 구축하고 있으며, 고객의 편의성을 극대화하는 End-to-End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고카트는 현재 180kg, 200kg, 250kg, 500kg 모델을 판매 중이며, 1,000kg, 1,500kg 모델을 새롭게 출시했습니다. 또한, 커스텀 AMR(Custom AMR) 형태로도 제작 가능해 가반하중, 차상 장치, 주행 방식, 구동부 등을 고객의 요구에 맞춰 유연하게 설계할 수 있습니다.
대부분의 로봇 기업이 로봇 단품 판매 또는 SI(System Integration) 형태로 운영되는 것과 달리, 유진로봇은 로봇과 공장 자동화 시스템을 자체 개발 및 운영해왔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 맞춤형 솔루션을 유연하게 제공하고 있으며, 가격 경쟁력과 기술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Q. 이번 AW2025 참가를 통해 기대하는 부분이나 달성하고자 하는 점을 설명 부탁드립니다.
A. 유진로봇은 이번 AW2025를 통해 최신 로봇 기술과 자동화 솔루션을 선보이며, 업계에서의 기술 리더십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특히, 스마트팩토리 솔루션 및 헬스케어 분야 확장을 목표로 글로벌 시장 진출을 가속화하고자 이번 전시회에 참가하였습니다. 이번 행사를 통해 다양한 기업과 협업 기회를 모색하고, 전략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계획입니다.
Q. 2024년 한 해 비즈니스 성과 및 2025년 사업 계획을 설명해주세요.
A. 2024년에는 국내 글로벌 기업 및 해외 시장에 고카트 및 커스텀 AMR을 대량 공급하며, 특히 대규모 자율 이동 로봇(AMR) 공급 계약을 체결하여 조립라인에 AMR 로봇을 본격적으로 투입할 예정입니다.
또한, 최대 2톤의 중량을 이송할 수 있는 고중량 AMR과 협소한 공간에서 유연하게 이동할 수 있는 전방향 휠(Omni Wheel)이 장착된 ‘고카트 300 옴니’를 신규 출시하였습니다. 2025년에는 해외 공장 자동화 및 헬스케어 분야에 집중하고, 미국 및 유럽 지역으로 사업을 더욱 확대할 계획입니다.
특히, 자율주행 로봇(AMR)과 인공지능(AI) 기술을 결합한 AMMR(Autonomous Mobile Manipulation Robot)을 개발하여, 제조 공장 내 활용도를 극대화하는 로봇을 선보일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MR 솔루션을 기반으로 해외 공장 자동화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입니다.
Q. 중장기 계획과 포부에 대한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A. 유진로봇은 자율주행 솔루션과 스마트 자동화 장비 사업 역량을 더욱 강화하여 B2B 시장에서의 입지를 확고히 하고자 합니다. 이를 위해 R&D 인력을 재배치하여 기술 개발 집중도를 높이고, B2B 로봇화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할 계획입니다. 특히, 북미 및 유럽 시장 공략을 위한 새로운 로봇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로봇 솔루션을 선보이겠습니다. 앞으로도 혁신적인 솔루션을 통해 글로벌 자동화 시장을 선도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고, 고객의 경쟁력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신뢰받는 파트너가 되겠습니다.
헬로티 김재황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