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물관서 만난 선인들의 삶의 정취, 청동 술잔에 담긴 삶의 미학 <금교>

2025-11-26

[서울=뉴스핌]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미니멀리즘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이 '미니멀리즘'을 배우고 다양한 수납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머리를 쥐어 짤 때, 지혜로운 고대인들은 이미 자신만의 '공간 마법'을 터득했다.

야외 여행을 선호하는 젊은이들이 가벼운 옷차림과 완벽한 장비 사이에서 망설이고 고민을 할 때, 삶을 사랑하고 즐겼던 고대인들은 이미 그 두 가지를 모두 다 소유했다.

산둥박물관에 수년간 전시되어 온 청동 뢰(罍, 술독 또는 술그릇)가 영문도 모른 채 인터넷에서 인기를 끌고 있으며 이 문화 유물에서 사람들은 시공간을 초월한 지혜와 미적 취향을 엿볼 수 있다.

공간 수납은 현대인만의 전유물이 아닌 것으로, 고대인들의 수납법은 때때로 현대인들보다 더 지혜로웠으며 더 아름다웠다. 명나라의 창금운룡문 주칠 록(盝, 작은 궤 또는 박스)은 생동감 넘치는 주칠과 반짝이는 금빛 무늬가 특징이며, 궤 안에는 크기가 다른 세 겹의 공간이 있어 다양한 물건을 보관할 수 있는 우아하면서도 고전적인 '캐리어' 스타일을 자랑하고 있다.

징먼(荊門) 바오산(包山) 초묘에서 출토된 채색칠목 체크무늬 주칠 록은 통나무로 조각 및 제작한 것으로 그 내부는 4단 6칸으로 분활되어 있어 접시, 냄비, 손잡이가 달린 작은 술잔과 같은 주기 세트들을 구획별로 보관할 수 있었다.

창저우(常州)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남송 주칠 창금연꽃잎 모양의 인물 화훼문 렴(奩, 상자)은 남송 시대 '뷰티 블로거'들의 청동 거울, 나무 빗, 분갑, 연지갑, 향합 등 화장 필수 소품을 한 번에 정리할 수 있었으며 칸막이와 받침을 이용해 효율적으로 구획을 나눴다. 이러한 렴과 같은 유형의 물건은 지금까지도 많은 가정에서 과일을 담는 용도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납 도구들은 수납 기능뿐만 아니라 미적 가치도 모두 갖추고 있다. 특히 산둥박물관에 소장된 청동 뢰는 공간 활용의 극치와 정교한 장인 정신이 돋보이는데 이는 다른 문화 유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점이다.

59개의 컵, 접시, 그릇, 박스들을 어떻게 하면 가지런히 수납하고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을까? 청동 뢰가 그 해답을 보여준다. 고대에 술이나 물을 담는 용기로 사용하던 뢰는 작은 입, 넓은 어깨, 깊은 내부, 둥근 발의 외형으로 우리에게 익숙한 항아리 모양과 비슷하다.

산둥박물관에 있는 이 '항아리'는 높이는 20센티미터가 조금 넘는 것에 불과하지만 '항아리의 내부 공간' 에는 천하가 숨겨져 있다. 동 재질의 겉 표면은 뚜껑과 상체 및 하체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몸체 안에는 술이나 수프를 담는 손잡이가 달린 작은 술잔이 10개, 식초나 고기 소스 등을 담는 작은 접시가 10개, 그리고 동일한 원형 식품 박스 10개가 있으며, 이밖에도 그릇 4개와 접시 25개가 들어 있다.

식기마다의 모양과 크기에 따라 층층이 쌓여 있어 사용할 때 마치 '타오와(套娃, 러시아 전통인형)'과 같이 하나씩 꺼낼 때의 느낌이 든다. 가장 놀라운 것은 산둥박물관이 디지털 기술을 통해 전시한 59개의 식기가 맞물려 있는 선명한 단면도는 그 세밀함이 겹겹이 쌓인 케이크를 자르는 느낌과 같았다는 것이다.

높이 20센티미터 남짓한 작은 청동 뢰이지만 그 안에 놀라울 만큼 많은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이러한 '공간 마법'의 실현은 고대인들의 탁월한 주조 기술과 정교한 설계 덕분에 가능했다.

산둥박물관 청동 뢰 안의 식기는 청동으로 주조되어 견고함과 내구성이 뛰어난 동시에 종이처럼 얇아 각 식기의 두께가 2mm도 되지 않는다. 또한 정밀하게 조정된 구조 설계를 채택하여 내부 공간 활용률은 무려 98.7%에 달하며 그 오차는 0.3mm 이내로 제어되었다.

이처럼 높은 정밀도는 현대의 금속 프레스 기술로도 형태만은 재현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식기 세트는 현대 장인의 손을 거쳐 기계로 가공된 제품이 아니라 2000년 전 전국 시대의 유물이다. 밀리미터 단위까지 정밀하게 제어된 이 수준의 기술이 그 시대에 이미 구현되었다는 사실은 그야말로 경이롭다.

정교한 배열 순서 또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하는 비결이다. 고고학자들은 발굴 현장을 바탕으로 청동 식기 세트가 항아리 안에 정확히 배치되는 순서를 복원했다.

산둥박물관도 애니메이션을 통해 이 순서를 시연하여 관람객들에게 선보였다. 식기는 크기에 따라 위아래로 질서정연하게 배열되어 있으며, 입구가 서로 맞물리도록 설계되어 안정적으로 포개서 정리할 수 있다. 또한 이 순서를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엄격하게 따라야 59개의 식기를 완벽하게 조합할 수 있으니, 이는 장인들의 세심한 배려와 정교한 솜씨를 잘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1991년 겨울부터 1992년 봄까지 고고학자들은 산둥성 즈보(淄博)시 린쯔(臨淄)구의 대형 무덤을 발굴을 했는데, 이때 출토된 유물 가운데 하나가 바로 산둥박물관의 청동 뢰로 현재 중국에서 발견된 것 중 가장 많은 수량과 가장 완전한 형태를 지닌 선진(先秦) 시대의 청동 식기 세트다.

이렇게 정교한 식기는 왕실 용품도, 명문 귀족 가문의 소유품도 아니었으며, 그 주인은 사대부 계층에 속한 인물이었다. 수량이 많고 정교하게 제작된 청동 식기가 사대부 계층의 무덤에 부장되었다는 사실은 당시 제나라의 경제적 번영과 민생의 풍요로움을 보여줄 뿐 아니라, 제나라의 발달한 수공예 수준을 방증하는 사례이기도 하다.

산둥박물관의 청동 뢰는 감탄을 자아내는 '외형'뿐만 아니라 그 배후에 담긴 고대인들의 삶의 정취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고 있다. 고고학자들은 손잡이가 달린 작은 술잔 세트, 작은 접시, 찬함과 당시의 '분식제' , 즉 개인별로 음식을 나누어 먹는 식사 관습을 근거로, 이 식기가 약 10명 이하 규모의 연회에 사용되었을 것이라 추정하고 있다.

청동 뢰의 외관 디자인 또한 고대인들의 독창성을 반영하고 있다. 뢰의 하부에는 이중으로 짐승머리 모양의 고리 장식이 있고 뚜껑 상단에는 네 개의 손잡이(또는 고리)가 배치되어 있어 끈을 꿰어 들고 다니기 편리하도록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수천 년이 지난 지금 청동 뢰와 내부 식기는 만들어졌을 당시만큼 화려하지는 않지만, 그것을 통해 우리는 여전히 그들이 목격한 아름다운 순간을 상상해 볼 수 있다.

2000년 전, 제나라의 대지와 춘추 시대의 풍광은 아마도 오늘날 못지않게 아름다웠을 것이다. 그 당시 청동 뢰의 주인은 가족과 함께하거나 벗들을 초대해 즐겁게 나들이에 나섰을 것이다. 계곡과 산림 속에 자리잡고 앉은 그들을 위해 뢰의 주인은 이 식기들을 하나하나 꺼내어 좋은 술과 맛있는 음식을 담아 먹으면서 즐겁게 담소를 나누었을 것이다.

그렇게 연회가 끝나고 100년도 안되는 찰나의 시간 지난뒤 이 작고 기교한 청동 뢰도 무덤 주인과 함께 땅속에서 잠들었다가 오랜 시간이 흐른 오늘날 이렇게 또다시 우리 앞에 그 모습을 드러냈다.

이 청동 뢰를 통해 우리는 개인별로 음식을 나누어 먹는 식사 관습이 외래 풍습이 아니고, 수납 또한 현대의 전유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2000년 전의 고대인과 현대인을 이어주는 것은, 자연과 사계의 아름다움을 가까이하고, 가족의 화목과 벗들과의 정을 소중히 여기며, 더 나은 삶을 꿈꾸는 마음이다. 이처럼 시공을 초월한 공감과 연결은 중국인 특유의 낭만이 빚어낸 특별한 감흥이라 할 수 있다.

서울= 최헌규 중국전문기자(전 베이징 특파원) chk@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