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pl Original
언제까지 ‘오징어 게임’만 할건가
스타트업 잔혹사, 바꾸는 법
발란(4월), 정육각(7월), 왓챠(8월)…. 올들어 중량급 스타트업들이 줄줄이 기업회생 절차에 들어가고 있다. 천신만고 끝에 데스밸리(death valley·죽음의 계곡)를 넘고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 기업)을 꿈꾸던 이들이 속절없이 무너지고 있다는 점에서 업계에 큰 충격을 주고 있다. 조사업체 더브이씨에 따르면 스타트업 폐업 건수는 2022년 101건에서 지난해 191건으로 두 배 가까이 뛰었다.
문제는 폐업 자체가 아니다. 그 과정에서 창업자들이 ‘재기 불능’ 상태로 내몰린다는게 더 큰 문제다. 다운라운드(기업 가치를 낮추는 일) 투자 시도조차 기존 투자자의 풋옵션(주식매수청구권) 위협에 막혀 기회를 잃고, 개인 신용 대출을 끌어 쓴 창업자의 집이 경매로 넘어가는 일도 발생한다. 임직원·고객과 소송이라도 붙으면 형사 책임까지 홀로 떠안게된다.
한국 창업 생태계를 두고 “마치 ‘오징어 게임’ 세트장과 같다”는 자조가 나오는 이유다. 실패한 창업자의 다음 도전은 성공 확률이 올라간다는 건 통계로도 증명된 사실. 스타트업이 잘 태어나고 잘 크는 것만큼이나, 잘 망할 수 있는 길을 열어주는 게 창업 생태계의 과제다. 팩플이 이미 망해본 스타트업의 경험담과, 잘 망할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는 비결을 모았다. 스타트업의 ‘안전한 이별’이 궁금하시다면.

1. ‘WeCrashed’, 우린 이렇게 무너졌다
우리는 성공한 스타트업을 주로 접하지만 스타트업은 원래 실패가 디폴트다. 스타트업이라는 단어 자체가 극히 낮은 성공 확률을 뚫고 고속성장하는 기업을 뜻하는 만큼, 실패하는 것 자체가 이례적인 일이 아니다. 문제는 한국에선 스타트업 폐업이 개인의 몰락으로까지 연결되고 있다는 점이다.
폐업은 사고처럼 온다: 김영웅 슈퍼래빗게임즈 대표에게, 첫 창업 회사 비컨스튜디오의 폐업은 2020년 어느 날 ‘사고처럼’ 다가왔다. 중국 게임 퍼블리셔(유통사)가 계약금 120만달러 지급을 계속 미루다가 끝내 “못 주겠다”고 드러누워 버린 것이다. 15개월치 운영비에 해당하는 돈이 허공에 사라지자, 곧 바로 폐업 상황에 내몰렸다. 폐업 절차를 밟아나가는 과정이 힘들지는 않았다. 회사 상황에 대해 투자자들과 꾸준히 소통했던 덕분에 투자자 동의도 일주일 만에 받아낼 수 있었다. 퇴직금 정산 등 잔여 업무를 꼼꼼하게 신경 쓴 덕에 임직원과도 갈등 없이 지나갔다. 하지만 폐업을 실제 자기 손으로 마무리짓고나니, 김 대표를 포함한 공동창업자 세 사람의 마음은 급격하게 무너졌다. 시장 선택을 받지 못하는 콘텐트를 만든 탓에 이 지경에 이르렀단 자책이 세 사람을 괴롭혔다. 폐업 1년 뒤 공동창업자 한 사람이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일까지 감당해야 했다.
투자자가 믿어줘도 온다: 이하영 도그메이트 대표는 2020년 1월 시리즈A 후속 투자를 받았다. 그때 막 코로나19가 확산하기 시작했다. 대면 팻시터 서비스인 도그메이트엔 치명적일 수도 있었지만 투자자들은 확장을 얘기했다. 한 투자자는 외려 “투자금을 6개월 안에 다 쓰라”고까지 했다. 시장 점유율 확보가 우선이란 얘기였다. 그때 조직을 확 키웠다. 그런데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면서 회사가 삐걱대기 시작했다. 투자자들은 “다양한 시도를 하면서 버텨보라”고 응원해줬다. 그렇게 버티던 이 대표는 2022년 개인 신용 대출을 일으켜 가수금(대표가 회사 자금 부족을 메우기 위해 자기 돈을 대여해주는 형태)을 넣기 시작했다. 그 순간부터 금리가 오르기 시작했다. 대출 당시 2%였던 금리는 6%를 넘겼다. 감당키 어려운 금융 비용이 발생했다. 대표 개인 앞으로. 어쩔 수 없이 법원에 기업 회생을 신청했고 회사는 지난 6월 아이돌봄 플랫폼 커넥팅더닷츠에 인수됐다. 서비스는 정상적 운영 중이다. 하지만 이 대표는 개인 파산 신청을 앞두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