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구개발(R&D) 사업화는 과학기술 혁신을 경제적, 사회적 가치로 연결하는 중요한 과정이지만 국내외적으로 여전히 많은 과제와 장애물이 존재합니다. 우리 연구회는 이러한 문제를 종합적으로 진단하고, 실효성 있는 정책 및 실무적 해결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정재관 연구개발사업화정책연구회 수석부회장 겸 가천대 바이오의료기기학과 겸임교수는 연구회 설립 배경을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내 R&D 사업화의 시급한 과제로 △기술 개발과 시장 요구 간의 괴리 △초기 자금 조달의 어려움 △규제와 제도적 장벽 등의 문제 해소 등을 꼽았다.
먼저 국내 R&D 결과물은 기술적으로 우수해도 시장의 수요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는 연구 초기 단계에서부터 사업화를 고려하지 않거나, 기술을 상용화할 수 있는 중간 매개체가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봤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연구기관과 기업 간의 협력 구조를 강화하고, 연구개발 단계부터 시장성과를 반영하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
자금 조달의 어려움도 지적했다. R&D 사업화에는 상당한 초기 투자가 필요하지만, 국내에서는 민간 벤처 캐피털과 정부 지원이 충분하지 않거나 분산돼 기술 기반 스타트업이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와 민간이 협력하는 투자 모델 활성화와 장기적인 기술 투자 펀드를 제안했다.
규제와 제도적 장애물도 해결과제로 꼽았다. 그는 “새로운 기술과 비즈니스 모델이 기존 법규와 충돌하거나, 관련 규제의 불확실성으로 인해 사업화가 지연되는 사례가 빈번히 발생한다”면서 “특히 생명과학, 인공지능, 친환경 기술 등 신산업 분야에서 이러한 문제가 더욱 두드러진다”고 했다. 해결책으로는 규제 개혁과 실험적 사업 환경 조성을 제시했다.
아울러 글로벌 기술 환경에 맞춘 개선 과제도 주목했다.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기술 표준화가 필수적이다.이를 위해 국가 간 협력이 중요한데 최근 들어 기술 보호주의가 강화되면서 국가 간 협력보다는 기술 분절화의 위험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는 이러한 글로벌 흐름에서 살아남으려면 우리나라는 선제적으로 기술 표준을 개발하고, 국제 협력을 확대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했다. 아울러 글로벌 분쟁에 대비해 특허 관련 법적 대응력을 높이고 기업이 지속 가능성을 고려한 R&D를 수행할 수 있게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국내외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기술-시장간 연계에 초점을 두고 초기 단계부터 시장 분석을 포함한 오픈 이노베이션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자금 지원 체계 개선, 규제 혁신, 국제협력과 기술 보호 강화, 기업이 환경과 사회적 책임을 고려할 수 있는 인센티브 정책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정 부회장은 연구회가 딥테크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에도 기여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구회가 현재 딥테크 스타트업 지원정책 고도화 연구를 진행 중으로 딥테크 스타트업 생테계 구축에 대한 정책지원 방향성을 제시해 계획”이라며 “딥테크 창업이 활성화되면 고급 일자리 창출, 미래 기술산업 기반 확대, 수출경쟁력 강화 등 다차원적 경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경민 기자 kmlee@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