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J제일제당(097950)은 올해 3분기 연결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9% 감소한 4조 5326억 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11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026억 원으로 25.6% 줄었다. 자회사 CJ대한통운을 포함한 연결 기준 실적은 매출 7조 4395억 원(+0.3%), 영업이익 3465억 원(-15.9%)을 기록했다. 이는 증권가 전망치인 매출 7조 6188억 원, 영업이익 3753억 원을 밑돈 수치다.
회사는 식품사업부문에서 해외 시장의 지속적인 성장에도 내수 부진과 원가부담 등으로 국내 사업이 위축됐다고 설명했다. 식품사업부문의 매출과 영업이익은 2조 9840억 원, 1685억 원으로 각각 0.4%, 4.5% 늘었다. 해외 식품사업 매출은 4% 성장한 1조 4554억 원을 기록했으나 국내 식품사업 매출은 1조 5286억 원으로 3% 감소했다.
권역별로는 유럽이 가장 높은 성장세(+13%)를 보였다. 지난해부터 유럽 전역에서 집중적인 사업 확장을 추진한 결과 3분기 말 기준 유럽 내 진출 국가는 27개국으로 확대됐다. 9월부터 신(新)공장을 가동한 일본은 ‘비비고 만두’를 중심으로 4%의 매출 성장을 이어갔다. 미주는 만두와 피자를 기반으로 3%의 견조한 성장세를 보였고 오세아니아는 주요 유통 채널로 판매 제품을 확대하며 매출이 5% 늘었다.
바이오사업부문은 매출 9794억 원, 영업이익 220억 원을 기록하며 각각 8.4%, 71.9% 감소했다. 고수익 제품인 트립토판과 알지닌, 핵산 등의 시장 경쟁 심화와 유럽 내 라이신 시황 부진으로 매출과 수익성이 하락했다. 천연 조미소재인 ‘테이스트앤리치(TasteNRich)’는 신규 고객사를 확보하며 판매량이 증가했지만 생산 원가 상승 등의 영향으로 수익성은 다소 둔화됐다.
사료·축산 사업을 전개하는 피드앤케어(Feed&Care) 부문은 매출이 5692억 원으로 2% 감소하고 영업이익은 120억 원으로 63% 줄었다. 주요 사업 국가에서의 사료 판매 가격 하락과 지난해 동기 대비 높은 기저 부담으로 인해 실적이 부진했다.
CJ제일제당은 4분기에도 글로벌전략제품을 중심으로 K푸드 신영토 확장에 집중할 계획이다. 바이오사업부문은 프리미엄 조미 시장을 이끌고 있는 테이스트엔리치의 신규 수요를 지속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K웨이브를 이끌 수 있도록 글로벌 사업 진출을 가속화하고 사업 포트폴리오 효율화를 통한 수익성 개선에 더욱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증권가, 씨젠 성장세 둔화에… 목표주가 하향 [Why 바이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0/2H0EFBR3NG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