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신문]
되돌아보면 축산업의 비약적인 성장을 구가해 왔던 시절에도 아무런 근심없이 맞이했던 새해는 없었던 것 같다. 그러나 2025년 을사년 새해는 이전의 그 어느 때와도 비교 불가능한 근심 속에 출발했다.
온 나라가 혼란에 빠져있다보니 국내 축산업의 근간을 흔들 대형 악재라고 해도 사안에 따라선 마땅한 대책을 기대할 수 없을 것이라는 우려마저 나온다. 그 여파는 이미 우리 축산업계를 흔들어 놓고 있다.
당초 예고됐던 전 축종 농가의 사료구매자금 상환 유예를 비롯해 원유가격 용도별차등가격제 지원, 돼지열병 생마커 백신 전면 공급, 도축장 전기요금 특별지원 등 축산농가 민생 관련 정부 사업들이 예산 확보 불발로 시행이 불투명해졌지만 추경을 통해 다시 추진될 가능성이나, 향후 일정에 대해 쉽사리 예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국회 차원에서 여야 합의로 예산 증액이 의결됐던 사업들이기에 잔뜩 기대를 가져왔던 축산업계로서는 그야말로 날벼락이 아닐 수 없다. 어디 이뿐인가. 축산업계가 공들여 준비해 온 각종 축산 관련 법률안의 제개정 추진도 지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물론 축산업계만이 아닌 국내 모든 산업계 전반에 걸친 현실인데다, 정부나 국회 입장에서도 “시국이, 시국인 만큼 어쩔 수 없지 않느냐”는 한마디로 불만을 덮어버릴 수 있는 시기임은 부인할 수 없다. 하지만 ‘시국탓’ 으로 모든 걸 넘겨 버리기엔 우리 축산업계가 맞닥뜨리고 있는 상황은 너무나 위협적이다.
당장 고생산비 기조가 두드러지고 있는 마당에, 미국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정국 혼란 등 잇따른 대내외적 요인으로 인한 환율 상승 추세가 장기화되면서 또 다시 사료가격이 들썩이고 있다.
큰 폭의 사료가격 인상과 함께 외부 도움 없이는 더 이상 정상적인 경영이 불가능한 ‘한계 농장’이 급속히 증가하는 등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발 후폭풍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국내 축산 현장에 메가톤급 악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다.
반면 국내 축산물 시장은 극도의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가뜩이나 극심한 경기 침체로 소비 부진 추세가 심화되고 있는 축산물 시장은 새로운 암운까지 드리워지며 올 한해 축산물의 가격 안정은 더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한마디로 먹고, 사는 것 자체를 걱정해야 하는 위기가 우리 축산업계에 몰려오고 있다. 축산업계가 “한국 경제 전체가 힘들다”는 말로 스스로를 위로하며, 잠시라도 무기력증에 빠질 여유가 없다는 의미다.
노파심에서 비롯된 바람이겠지만 정부와 국회는 정국의 격랑 속에서도 업무 차질을 최소화 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식량안보의 한 축을 담당해 온 축산업 기반에 돌이킬 수 없는 균열이 발생할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축산업계 역시 그 어느 때 보다 적극적으로 각종 현안에 민첩히 대응하며 정부, 국회와의 소통에 진력함으로써 축산 현장에 자신감과 희망을 불어넣어 주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축산업계의 더 큰 힘이 필요함은 물론이다. 각자도생이 아닌, 축산업계 모두가 단일대오를 구축하고 한 목소리를 내기 위한 노력이 그 어느 때 보다 절실한 시기임을 강조한다.
축산신문, CHUKSAN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