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계, 기족친화정책 확대...자녀 당 출산축하금 1억원 달하기도
유통업계에선, 10만원 지급도 있어...직원, "지원 없는 것과 다름없어"
업계, "대내외 여건 고려하면 수익성에 집중해야"..."비금전적 지원은 계속 강화"
[녹색경제신문 = 서영광 기자] 최근 많은 기업들이 직원들이 가정과 일을 균형 있게 조화할 수 있도록 가족친화정책을 확대하고 있다. 특히 출산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가운데, 기업들은 출산장려금(출산축하금) 지급을 늘리며 사회적 책임 강화에 나서는 모습이다.
하지만 유통업계는 다른 업계에 비해 출산장려금이 상대적으로 적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유통업계는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고 고정비용이 크기 때문에 복지 혜택에 배정할 수 있는 예산이 제한적이라는 설명이다.

25일 <녹색경제신문>의 취재에 따르면 국내 유통업계가 출산장려금 혹은 출산축하금을 지급하지 않거나, 지급하더라도 그 금액이 극히 적어 사회적 책임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먼저 백화점 3사(롯데백화점·신세계백화점·현대백화점) 중 가장 먼저 출산장려금 지급에 나섰던 롯데백화점은 축하금으로 자녀당 1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앞서 롯데백화점은 기존 10만원이었던 축하금 규모를 무려 10배 늘렸다.
또한 롯데마트는 휴직하고 임신을 준비하는 직원에게 최대 6개월의 ‘아기소망휴직’ 제도를 제공한다. 더불어 100만원 규모의 ‘아기소망지원금’도 지급하고 있다.
신세계백화점은 출산 격려금으로 ▲첫째 출산 시 100만원 ▲둘째 출산 시 200만원 ▲셋째 출산 시 500만원을 지급하고 있다. 다만 신세계그룹 계열사 이마트와 스타벅스는 자녀 당 지원금이 10만원이다. 하지만 지원금 외 어린이집 운영, 및 난임휴직, 출산휴익, 근로단축 등 다양한 비금전적 지원을 시행하고 있다.
현대백화점은 첫째를 출산하면 300만원, 둘째는 500만원이 지급된다. 셋째의 경우는 축하금 으로 1000만원을 지원하며, 임신 배우자의 유급휴가 제도도 운영 중이다.
한편 유통업계도 최근 지원금을 확대하는 기조를 보이고는 있으나, 아직까지 다른 산업군과 비교해 지원금 규모가 작다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유통업계는 현금 지급보다 휴직제도 및 근로시간 단축 등 비금전적 지원 비중이 크다는 것.
실제로 부영그룹은 지난해 출산장려금 1억원 지급 정책을 도입했다. 이어 게임사 크래프톤은 출산축하금 6000만원에 이후 재직하는 8년간 매년 500만원씩 총 1억원을 지급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유통업계는 업계 내 특성상 고정비용 및 인건비 부담이 높기 때문에 복지 혜택 예산도 한정적이라는 설명이다. 또한 업체 간 경쟁이 치열하고, 최근 업황 등의 어려움이 있어 당분간은 비용 절감과 수익성 향상에 집중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25일 <녹색경제신문>에 “물론 장기적 관점에서 기업가치 확대를 본다면 우수한 인재에게 투자하는 것과 직원의 만족도를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이직률을 낮추는데 집중해야 하지만 지금 대내외 여건을 고려하면 수익성 확보가 더욱 중요한 상황”이라며 “다만 지원금 지급 외에 다른 복지 혜택과 지원은 계속해서 늘려나가고 있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서영광 기자 market@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