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년 부지공모 착수…범정부 지원방안 수립 등 추진
처분시설 운영까지 1.7조원 투입해 R&D와 인프라 확충
연구용 지하연구시설로 독자적 한국형 처분시스템 개발

【에너지타임즈】 오는 9월 고준위 특별법 시행을 앞두고 하위법령 제정이 본격화된 가운데 원자력환경공단이 신속한 고준위 방폐물 관리시설 부지선정을 하겠다는 당찬 의지를 담아 고준위 방폐물 관리 허브 기관 도약을 공식 선언했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사장 조성돈)은 고준위 방폐물 관리 허브 기관으로 도약을 선언하기 위해 23일 본사(경북 경주시 소재)에서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원자력환경공단은 수레바퀴 허브처럼 기술개발이 필요한 곳과 인력양성이 필요한 곳, 기자재와 설비가 필요한 곳에 적절히 자원이 흘러갈 수 있도록 역할과 책임을 다하겠다는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 비전을 제시했다.
또 원자력환경공단은 2038년까지 고준위 방폐물 관리시설 부지선정, 2050년까지 중간저장시설 확보, 2060년부터 최종처분시설 운영 등 중장기 사업목표를 설정했다.
먼저 원자력환경공단은 과학적 합리성에 근거한 부지조사계획을 수립해 2026년 부지공모에 착수하는 한편 유치지역에 대한 범정부 지원방안 수립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한 사회적 합의 등을 기반으로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원자력환경공단은 2029년까지 4300억 원에 달하는 다부처 연구과제를 통해 고준위 방폐물 운반‧저장‧처분 분야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한편 처분시설 운영 시점까지 1조7000억 원에 달하는 예산을 연구개발과 인프라 확충에 투자하게 된다.
이뿐만 아니라 원자력환경공단은 지난해 강원 태백시에 부지를 확보한 연구용 지하연구시설(URL)을 2030년까지 건설해 그동안 개발한 기술을 적용하는 등 독자적인 한국형 처분시스템을 완성해 나간다.
조성돈 원자력환경공단 이사장은 “고준위 특별법 제정은 원자력계 모두가 일궈낸 소중한 결과”라면서 “이를 계기로 원자력환경공단은 고준위 방폐물 관리사업을 추진할 수 있음을 증명해야 하는 시점으로 중‧장기 사업목표를 반드시 달성할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