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치킨은 세계 최고입니다” 젠슨 황의 극찬에도 치킨집 3년 새 3000개 줄어든 이유?

2025-11-08

“한국 치킨은 세계 최고입니다.”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지난달 30일 서울 삼성동 깐부치킨에서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과 함께 한 '치맥' 회동 이후 남긴 말이다.

황 CEO 방한을 계기로 K치킨이 재조명되고 있다. 전국의 치킨 점포수는 4만개에 가깝다. 이 중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3만개에 육박한다. 치킨 브랜드 수는 600개가 넘는다.

9일 국가데이터처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전국 치킨전문점 수는 지난 2023년 기준 3만9789개로 전년(4만1436개)보다 4%가량 감소해 4만개 아래로 내려왔다.

치킨점포 수는 3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지난 2020년 4만2743개에서 3년 만에 거의 3000개 줄었다.

2023년 기준 치킨전문점 종사자 수는 8만4614명으로 2년 사이 2000명 가량 감소했다.

치킨 업종을 포함한 전체 음식점 및 주점업 사업체 수도 2020년 80만4173개에서 2023년 79만3586개로 줄었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외식업이 완벽히 회복되지 않고 폐업률이 높은 상태가 지속돼 전체 음식점업과 치킨 업종의 업체 수가 줄어드는 추세였던 것 같다”고 말했다.

전체 치킨집 수는 줄었지만,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매년 늘고 있다.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 수는 2018년 2만5000개 수준에서 5년 만에 5000개 가까이 증가해 2023년 2만9805개로 3만개를 눈앞에 뒀다.

치킨은 음식점업 중 프랜차이즈 사업체 비중이 가장 높은 업종이다. 치킨전문점중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약 75%로 높아졌다.

치킨 프랜차이즈 브랜드 수는 공정거래위원회 가맹사업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647개로 2020년(477개)보다 170개 늘었다.

프랜차이즈협회 관계자는 “코로나19 이후 전 국민이 일상적으로 배달앱을 이용하면서 치킨 프랜차이즈가 급성장해 다양한 브랜드가 많이 생겼다”고 말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도 “배달앱 이용이 많아졌는데 프랜차이즈는 배달앱 프로모션을 많이 할 수 있어 프랜차이즈 비중이 높아진 것 같다”고 풀이했다.

다만 브랜드 수는 작년(669개)과 비교해 감소했다. 이는 내부 부진이 지속하는 상황에서 가맹본부를 새로 차리려면 직영점 하나를 1년 이상 운영해야 하는 제도가 도입되면서 등록을 취소한 브랜드가 생겨났기 때문으로 공정위는 분석했다.

치킨 브랜드 수는 몇 년 사이 많이 늘었지만, 규모가 영세한 브랜드가 대부분이다.

지난해 기준 가맹점 수 10개 미만 브랜드가 410개로 63%를 차지하며 가맹점 100개 이상 브랜드는 55개로 8.5%로 집계됐다.

지난 2023년 말 공정거래위원회 집계 기준 가맹점 수가 2000개를 넘는 브랜드는 bhc(2291개)와 BBQ(2238개) 두 곳이다. 그 뒤로는 교촌치킨(1377개), 처갓집양념치킨(1233개), 굽네치킨(1118개) 순이다.

업계 관계자는 "작년부터 배달앱의 무료 배달 경쟁으로 배달 수요가 회복돼 치킨 가맹점 수는 늘었겠지만, 수수료 부담이 너무 커져 수익 구조가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