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oking&Food] "주 1회 이상 먹는다" 50.5%…한국인의 일상식이 된 버거

2025-04-24

중앙일보 쿠킹팀, 945명 대상 설문 조사 바탕으로 살펴본 ‘2025년 햄버거 트렌드’

버거킹과 맥도날드가 나란히 1·2위 차지

흑백요리사 셰프 콜라보 메뉴도 인기몰이

버거 선택 시 풍미·포만감 등이 가장 중요

사이드 메뉴로는 감자튀김이 독보적 1위

국내 햄버거 시장이 뜨겁다. ‘흑백요리사’ 우승자 권성준 셰프와 준우승자 에드워드 리 셰프가 각각 롯데리아, 맘스터치와 협업해 신제품을 출시하며 매출 상승을 이끌었다. 반면 미국 프리미엄 브랜드 ‘슈퍼두퍼’는 지난달 한국에서 철수했다. 이같은 온도 차의 원인은 무엇일까. 중앙일보 쿠킹팀은 식문화 소셜 커뮤니티 ‘지글지글클럽’과 함께 지난 11일부터 일주일 동안 945명을 대상으로 버거 브랜드 선호 조사를 진행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2025년 버거 트렌드를 살펴봤다.

2024년 기준 한국 버거 시장 규모 약 5조 원 추정

버거는 이제 한국인의 일상식으로 자리 잡고 있다. ‘주 1회’ 버거를 먹는다는 응답자가 27.5%로 가장 많았고, 주 2~3회(17.1%), 주 4회 이상(5.9%)을 포함해 응답자의 절반 이상(50.5%)이 일주일에 한 번 이상 버거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달에 2~3회(24.9%), 한 달에 1회(14.1%)라고 답한 사람까지 합하면, 한 달 기준 1회 이상 버거를 섭취하는 비율은 90%에 달했다. 버거를 먹는 이유(중복 응답 가능)로는 ‘버거를 좋아해서(44.6%)’가 가장 많았고, ‘간편해서(35.6%)’, ‘혼밥하기 좋아서(13.4%)’ 등이 뒤를 이었다.

사람들이 자주 찾는 만큼, 버거 시장은 매년 꾸준히 성장중이다. 업계에서는 2024년 기준 한국의 버거 시장 규모를 약 5조 원으로 추정하고 있다. 커진 시장만큼 각 브랜드는 공격적인 마케팅과 신제품 출시, 가격 프로모션으로 소비자 공략에 나섰고 소비자의 선택지는 다양해졌다.

가장 선호하는 브랜드는 버거킹(32.3%)이 1위를 차지했다. 이어 맥도날드(21.7%), 맘스터치(16.4%), 롯데리아(14.1%), KFC(7.1%), 프랭크버거(4.1%), 노브랜드버거(1.7%), 기타(2.6%) 순이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버거킹과 맥도날드는 20대부터 50대 이상까지 대부분 연령에서 버거킹과 맥도날드가 나란히 1·2위를 차지했다. 반면 20대 미만의 경우 맘스터치, 롯데리아, 맥도날드, 버거킹 순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선택 기준으로는 ‘맛’이 63%로 압도적 1위였고, 이어 ‘가격(17.5%)’, ‘매장 접근성(9.2%)’, ‘프로모션(5.6%)’, ‘신메뉴 출시(3%)’ 등이 뒤를 이었다.

브랜드 시그니처 메뉴의 안착이 사랑받는 비결

응답 결과를 살펴보면, 각 브랜드의 시그니처 메뉴가 강력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버거킹을 선택한 응답자 중 상당수가 와퍼를 선호 이유로 꼽았다. 20대 여성 김모 씨는 “패티가 직화로 구워져 불맛이 진하게 배어 있고, 양상추, 토마토, 양파 등 신선한 채소가 아낌없이 들어 있어 먹을 때마다 든든한 한 끼를 먹는 느낌이 들어 좋다”고 말했다. 40대 남성 방모 씨 역시 “와퍼는 햄버거의 핵심인 패티가 가장 맛있고, 구성도 알차다”고 평가했다. 와퍼는 1957년 출시된 버거킹의 대표 메뉴로, 버거킹 관계자는 “직화로 구운 소고기 패티에 신선한 채소, 부드러운 번이 어우러져 깊은 풍미를 자랑한다”며 “다양한 식재료를 활용한 한정판 메뉴를 통해 와퍼의 색다른 변주를 선보이며 꾸준히 사랑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맥도날드를 선택한 응답자들도 빅맥, 맥스파이시 상하이버거, 불고기버거 등 시그니처 메뉴를 이유로 들었다. 30대 여성 김모 씨는 “빅맥은 양이 넉넉하고, 먹고 나면 다른 음식이 생각나지 않을 정도로 만족스럽다”고 답했다. 20대 여성 조모 씨는 “맥스파이시 상하이버거는 치킨 패티의 식감과 촉촉함이 적당하고 소스의 스파이시함과 잘 어우러져 맛있다”고 말했다. 최근 맥도날드가 1955버거와 맥스파이시 상하이버거의 맛은 그대로 살리며 더블 패티로 풍성하게 구성한 ‘더블 1955버거’와 ‘더블 맥스파이시 상하이 버거’ 2종을 재출시한 것도 이러한 소비자의 기대에 응답한 것으로 보인다.

가장 먹어보고 싶은 버거는 셰프와 협업한 신메뉴

브랜드들은 공격적인 신제품 출시 전략도 이어가고 있다. 최근 가장 큰 관심을 끈 사례는 스타 셰프와의 협업이다. 실제 설문조사에서 ‘브랜드 신메뉴 중 가장 먹어보고 싶은 버거’(복수 응답 가능)를 묻는 질문에, 맘스터치의 ‘에드워드 리 싸이 버거(49.1%)’와 롯데리아의 ‘나폴리맛피아 모짜렐라 버거’가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맘스터치의 에드워드 리 셰프와의 협업 제품은 2월 정식 출시 전 사전 예약에서 30분 만에 매진되었고, 출시 이후 평균 매출이 61.3% 증가하는 성과를 거뒀다.

특히 에드워드 리의 비프버거는 출시 이후 판매량이 574% 급증하는 등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맘스터치 관계자는 “에드워드 리 셰프 컬렉션은 미국에서만 운영되는 레스토랑의 맛을 국내에서 경험할 수 있어 소비자 반응이 매우 뜨겁다”며 “하반기에도 새로운 레시피를 반영한 버거와 치킨 신메뉴를 선보일 계획”이라고 전했다. 롯데리아는 권성준 셰프와의 협업을 통해 기존 인기 메뉴인 모짜렐라버거에 나폴리맛피아 레시피를 더한 ‘모짜렐라버거 토마토 바질’과 ‘발사믹 바질’ 2종을 출시했다.

‘사이드 메뉴’도 브랜드 선택의 주요 요인

버거 세트와 함께 빠질 수 없는 것이 바로 사이드 메뉴다. 가장 자주 먹는 사이드 메뉴를 묻는 질문에서는 감자튀김(70.4%)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고, 이어 치즈스틱, 콘샐러드, 어니언링, 치킨너겟, 치킨 윙, 해쉬브라운 등이 뒤를 이었다. 고물가 시대에 사이드 메뉴를 포함한 스낵류는 매출 상승을 견인하는 주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올해 초 맥도날드는 신제품 ‘한입 초코 츄러스’를 포함한 ‘해피 스낵’ 라인업을 선보였는데 출시 11일 만에 50만 개 이상 판매됐다. 맥도날드 관계자는 “최근 고물가 시대에 맞춰 ‘해피 스낵’과 같은 고객 혜택 중심의 메뉴를 통해 맛과 가성비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다양한 사이드 및 디저트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며 “지난 1월 ‘해피 스낵’ 판매량이 전년 동기 대비 약 160% 증가하는 등 가성비 메뉴에 대한 소비자들의 높은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