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메모리개발 조직 일원화···HBM 전담팀, D램 개발실로

2025-11-27

삼성전자가 작년 신설한 HBM(고대역폭메모리)개발팀을 해체하고 구성원을 D램 개발실로 이동시켰다. 엔비디아의 공급망에 합류하는 등 HBM 사업에 본궤도에 진입한 데 따른 자신감으로 풀이된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이날 임원 대상 설명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조직개편 사항을 공유했다.

DS부문에선 HBM개발팀이 사라지고 소속 직원이 D램개발실 산하 설계팀으로 자리를 옮긴다. 설계팀장은 HBM개발팀 수장 손영수 부사장이 맡기로 했다. 이들 직원은 설계팀 소속으로 HBM4, HBM4E 등 차세대 제품 개발을 이어간다.

HBM개발팀은 작년 7월 개편을 통해 깜짝 신설된 조직이다. 전영현 부회장은 DS부문장 선임 후 한 달여 만에 이 같은 조치를 취했는데, 당시 전문 인력을 한 곳에 모아 연구에 힘을 싣겠다는 의지로 해석됐다.

삼성전자가 약 1년 만에 HBM개발팀을 해체한 것은 사업이 순항하는 것과 무관치 않다고 업계는 진단한다. 이 회사는 엔비디아, AMD, 오픈AI, 브로드컴 등 글로벌 빅테크와 거래를 시작하는 성과를 냈다.

품질 개선 노력의 결과물이다. 삼성전자는 엔비디아 퀄테스트에서 합격점을 받지 못하자 제품을 전면 수정했다. 적층 구조 최적화로 칩 사이의 열 전도 효율을 높이고 인터페이스를 수정해 전력 낭비를 줄임으로써 발열과 전력 소비 문제를 해결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장의 반응도 긍정적이다.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는 삼성전자가 주요 거래처향(向) HBM3E 제품 인증과 HBM4 수출을 기반으로 사업을 회복하면 2026년엔 시장에서 30% 이상의 점유율을 달성할 것이란 전망을 내놨다.

이밖에 메모리사업부 주요 실장급 인사엔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는 이번주 조직개편을 마무리하고 다음달 글로벌전략회의를 열어 내년도 사업을 점검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