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5월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프로그램이 처음 공개됐을 때 외국인투자가들의 반응은 냉소적이었다. 상장사가 자율적으로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는 계획을 내놓고 투자자들과 적극 소통하라는 내용에 동의하지 않아서가 아니다. 한국 정부가 과연 밸류업 프로그램을 얼마나 지속할 수 있겠냐는 의구심 때문이다.
외국인투자가들이 예상한 대로 밸류업은 출범 1년도 되지 않아 역사 속으로 사라질 위기에 처했다. 비상계엄 사태로 조기 종식된 윤석열 정권의 대표적인 자본시장 정책 브랜드이기 때문이다. 새 정부가 출범할 때마다 전임 정부 지우기부터 시작하는 국내 정치 여건상 차기 정권이 밸류업을 그대로 이어받아 쓸 가능성은 크지 않다.
대선 후보 가운데 누가 당선되더라도 코리아 디스카운트 해소를 위한 자본시장 선진화 정책은 지속할 것이다. 후보자마다 세부적인 정책 내용은 달라지더라도 밸류업만큼은 브랜드를 바꾸지 않고 추진하는 방법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밸류업은 1년 만에 폐기하기에는 아까운 정책이다. 문제가 있어도 밸류업 틀 안에서 고쳐야 한다. 국내에서 밸류업을 시작한 계기가 된 일본은 10년 넘게 꾸준히 정책을 이어왔다.
밸류업을 없애지 않는 것은 물론이고 적극 추진해야 한다. 박근혜 정부에서 도입된 창조경제혁신센터는 간신히 명맥을 이어가고 있어도 아무런 관심을 받지 못해 제 역할을 못 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 등 개별 기관 차원에서 밸류업 프로그램을 이어가더라도 정권 차원에서 관심이 필요하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10대 공약을 통해 외국인투자가 유입과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SCI) 선진국지수 편입을 적극 추진하겠다고 했다. MSCI 선진국지수 편입이야말로 지속적인 정책적 의지를 보여줘야 가능한 일이다. 만약 차기 정부에서도 밸류업이 계속된다면 정권이 바뀔 때마다 정책이 뒤집혀 한국 정부를 믿을 수 없다는 외국인투자가들의 냉소적인 시각도 달라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