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연구원, ‘한·미 통상 현안과 경남 경제’ 보고서 발표

2025-10-15

경남연구원(원장 오동호)은 최근 발표한 ‘한·미 통상 현안과 경남 경제: 경남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와 대응 방향’ 보고서를 통해, 한·미 간 통상 현안이 경남 경제 전반에 미칠 영향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종합적인 대응 방향을 제시했다고 15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관세 15%가 부과될 경우 경남의 대미 수출액은 연간 약 4,990억 원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별로는 ▲자동차(1,374억 원) ▲일반기계(1,200억 원) ▲항공(820억 원) 등 주력 수출 품목의 감소 폭이 클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조선과 방산 분야는 미국의 ‘MASGA(Make American Shipbuilding Great Again)’ 프로젝트와 원전·에너지 협력 확대에 따라 새로운 기회를 모색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또한, 약 5,000억 달러 규모로 거론되는 대규모 대미투자에 대해서는 생산성 향상과 국제 협력 확대 등 긍정적 효과가 기대되지만, 동시에 국내 투자 위축, 산업 공동화, 핵심 기술 유출 위험 등 부정적 영향도 상존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연구원은 한·미 통상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4대 대응 과제를 제안했다.

① 자동차 산업 내 한계기업 사전점검 및 위기대응 체계 구축

② 조선·방산 분야 대규모 정부사업에 대한 선제적 대응

③ 데이터센터용 소형모듈원자로(SMR) 및 히트펌프 기술 투자 확대

④ 조선·기계 산업 생태계 보완을 위한 장기 로드맵 수립

아울러 경상남도는 경제부지사를 중심으로 ‘산업안정대책 TF’를 구성·운영하며, 한·미 통상환경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응 중이다.

이우평 연구위원은 “이번 보고서는 단기적 통상 현안 대응을 넘어, 중장기적으로 경남 산업 구조 전반에 미칠 파급효과와 정책 대응 방향을 종합적으로 정리한 것”이라며, “지역 산업계와 중앙정부가 함께 전략을 마련해 경남이 기회와 위기를 균형 있게 관리할 수 있도록 구체적 대안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경남연구원 전경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