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투데이 한지혜 기자] 인도 정부는 암호화폐에 대한 강경한 입장을 유지해왔지만, 미국의 규제 변화가 정책 전환을 촉진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2일(현지 시각) 코인텔레그래프는 그동안 암호화폐를 강하게 반대해온 인도 정부가 최근 다른 국가들의 채택 움직임에 따라 규제 정책을 재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아제이 세스(Ajay Seth) 인도 경제 담당 차관은 "디지털 자산은 국경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언급하며, 인도가 디지털 자산 혁명에서 뒤처지기를 원치 않는다는 신호를 보냈다.
이 같은 정책 변화 가능성은 최근 인도 정부가 미신고된 암호화폐 소득에 대해 최대 70%의 세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발표한 가운데 나왔다.
정부의 입장 변화는 친(親) 암호화폐 분석가들과 비트코인 맥시멀리스트(Bitcoin Maximalist)들이 제시한 ‘국가 간 게임 이론’과도 맞닿아 있다. 이 이론에 따르면, 일부 국가가 암호화폐를 도입하면 다른 국가들도 경쟁적으로 디지털 자산을 축적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게 된다.
한편 아미트 쿠마르 굽타(Amit Kumar Gupta) 인도 대법원 법률 전문가는 코인텔레그래프와의 인터뷰에서 "인도 정부는 암호화폐를 도박보다 더 나쁜 것으로 보고 있다"며 "정부의 입장은 암호화폐가 자금 세탁과 테러 자금 조달 같은 불법적인 활동에만 사용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사용하지도 않을 것이고, 누구에게도 사용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hjh@blockchaintoday.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