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팎 혼란한 지금, 명심보감 읽을때”

2024-12-25

“천자가 참으면 나라에 해가 없고, 제후가 참으면 더 큰 나라를 이룬다.” 화를 참으라는 내용이 주로 담긴 『명심보감(明心寶鑑)』 8장 계성(戒性)편에 실린 공자님 말씀이다. 이런 구절은 어떤가. “얻지 말아야 할 것을 얻은 것보다 더 짧게 가는 것은 없고, 제 능력을 믿고 오만한 자보다 더 외로운 사람은 없다.” 바른 몸가짐을 논한 5장 정기(正己)편에 실린 글이다. 최근 『명심보감(明心寶鑑)』 완역본(민음사)을 출간한 안대회(63) 성균관대 한문학과 교수가 혼란스러운 현 시국을 촉발한 ‘그’에게 들려주고 싶다고 꼽은 문장들이다.

원나라 말~명나라 초기 학자 범입본(范立本)이 쓴 『명심보감』은 『논어』 『맹자』 등 160여 종에 달하는 문헌에서 발췌한 격언과 세간에 떠도는 속담 등을 수록한 일종의 잠언집이다. 조선 시대엔 남녀노소가 읽는 필독서였고, 현재도 200여 종 넘게 나와 있는 ‘고전 중의 고전’이다. 하지만 그간 출간된 대부분의 책은 일부 내용만 뽑은 발췌본에다 해석도 제각각이었다.

『채근담』 『북학의』 등 다양한 고전 완역을 해온 안 교수는 지난 5년간 모든 판본의 『명심보감』을 비교하며 원저에 실린 20개 장, 774개 글 모두를 새롭게 번역해 해설을 붙였다. 지난 19일 서울 성균관대에서 만난 안 교수는 “처음엔 너무 대중적인 책이라 나까지 발을 들여놓을 필요가 있을까 싶었지만, 읽다 보니 ‘이거 정말 재미있다’는 느낌이 왔다”고 했다.

어떤 점이 재밌었나.

“600년 전에 씌어진 글임에도 현대인의 삶에 유용한 격언이 정말 많았다. 게다가 중국, 한국은 물론 일본·베트남·태국 등 아시아 전체의 베스트셀러인데 연구가 거의 안 되어 있었다. 본국인 중국에서도 거의 사라졌다가 한국 드라마 ‘대장금’, ‘별에서 온 그대’ 등에 『명심보감』이 등장하면서 새롭게 조명을 받고 있다.”

중국에서 잊혀진 책이 된 이유는.

“저자 범입본은 당대 지식인 네트워크에 속하지 못한 인물이다. 엄청난 독서를 한 ‘재야의 천재’였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대중적으로 큰 성공을 거뒀지만 정식 학계에선 ‘내용이 통속적이다, 수준이 낮다’며 가치를 무시했고 차츰 잊혀졌다.”

고려 문신 추적(秋適·1246~1317)을 저자로 알고 있는 이들도 많은데.

“조선시대 시중에 떠돌던 책엔 저자 이름이 없는 경우가 많았다. 19세기 초반 대구에 있는 추씨 가문이 보관하던 책에 자신들의 선조인 추적을 저자로 써 넣은 것이 시작이었다. 1959년 정부 주도로 『국역증보명심보감』이 편찬됐는데, 이 책에서 추적을 저자로 표기하는 바람에 잘못된 정보가 퍼져나갔다.”

지금도 읽을 만한 가치가 있을까.

“여성들에게 ‘삼종지도(三從之道·어려서는 아버지를 따르고, 결혼하면 남편을 따르고, 남편이 죽으면 아들을 따른다)’를 강조한 20장 부행(婦行)편 은 구시대 유물로 폐기해도 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여전히 유효한 구절이 많다. 선행을 강조하는 동시에 생활 속 처세를 알려주는 심리학책, 자기계발서 성격이 짙다. 예를 들어 11장 성심(省心)편에선 ‘복이 있다고 남김없이 누리지 말고, 세력이 있다고 끝까지 써먹지 말라’고 한다. 힘도 복도 아껴 남에게 베풀어야 행복해진다는 의미다.”

안 교수는 “지금과 같이 안팎이 어려운 때야말로 인류 보편의 윤리가 담긴 『명심보감』을 다시 읽어야 할 때”라고 했다. 특히 정치인들에게는 지도자의 몸가짐을 다룬 치정(治政)편, 마음 다스리기를 강조한 성심편 등을 권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