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소리 낮춘 與대선주자들 정중동, 尹탄핵 심판 결과에 촉각

2025-04-02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를 이틀 앞둔 2일 여권의 잠재 대선 주자들은 숨죽였다. 다만 물밑에선 탄핵 심판 결과가 향후 정국에 미칠 파장을 가늠하려 애쓰는 모습이었다.

여당의 대표적 ‘탄핵 찬성파(찬탄파)’인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공식 일정이 없었다. 지난달 29일 경북 산불 현장을 방문한 이후 4일째 조용한 행보다. 취재진 브리핑 시간까지 분(分) 단위로 알리는 한 전 대표의 취재 지원 단체 SNS방도 산불 현장 방문 이후 아무런 공지가 올라오지 않았다. 한 전 대표 측은 “탄핵 선고 이후 당원 및 지지층을 다독이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며 “4일 이후 곧바로 외부 일정을 갖진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 전 대표는 헌재의 탄핵 선고 뒤 자신의 입장을 설명하는 메시지를 직접 내놓을 것으로 알려졌다.

오세훈 서울시장도 외부 일정을 최소화하고 있다. 영남 산불 현장 진압 지원을 위해 경북 안동을 방문한 지난달 28일 이후 서울시정을 제외한 외부 일정을 잡지 않았다.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일정이 잡힌 이후부턴 연일 “정치권이 해야 할 일은 그 결과에 모두가 승복할 수 있도록 사회적 분위기를 조성하는 일”이라며 혼란 없는 국정 수습을 당부하고 있다. 헌재 선고 기일 확정 이후 ‘여야 정치권의 승복’을 당부한 안철수 의원과 유승민 전 의원도 최근 들어 대선 행보로 비칠 수 있는 외부 행보나 언론 접촉을 부쩍 줄였다.

찬탄파 주자들의 몸조심 배경으론 윤 대통령 탄핵 선고 이후 강성 지지층의 반발 정도를 가늠하기 어렵기 때문이란 분석이 나온다. 익명을 요구한 찬탄파 주자 측 인사는 “윤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면 강성 보수 지지층에서 찬탄파를 향한 책임론이 불거질 게 뻔한 상황”이라며 “자칫 섣부른 행동 하나가 돌이킬 수 없는 치명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탄핵 반대파 인사들 역시 오해를 살 수 있는 외부 행보를 최소화하는 건 마찬가지다. 다만 윤 대통령 ‘탄핵 기각·각하’를 외치며 지지층에 어필할 수 있는 발언을 내놓는 건 차이점이다. 지난달 19일 서울대 특강 이후 외부 일정을 최소화해 온 홍준표 대구시장은 이날 페이스북에 “탄핵 기각을 예측해 본다”며 “문제는 탄핵 기각 후 후폭풍을 어떻게 돌파하느냐가 나라 안정의 관건이다. 윤 대통령의 획기적인 스테이트크래프트(statecraft·국정운영 기술)를 기대한다”고 적었다.

탄핵 정국 이후 여권 지지율 1위인 김문수 고용노동부 장관은 이날 중앙일보 통화에서 “윤 대통령이 빨리 국정에 복귀해 나라와 민생의 안정, 국정 현안을 타개해 나가는 데 힘써 주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