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대구여성영화제', 여성의 시선으로 세상을 비추다

2025-10-21

여성의 이야기와 예술을 나누는 장 마련

계명대 여성학연구소가 주최하는 ‘2025 대구여성영화제’가 오는 30일부터 11월 1일까지 3일간 메가박스 대구프리미엄만경관 4관에서 열린다. 올해 영화제는 ‘우리는 모든 거리를 초월해’를 주제로 세대, 언어, 경계, 경험을 넘어 연결되는 여성들의 이야기를 스크린을 통해 전한다.

총 12개 섹션, 25편의 영화와 25명의 감독·평론가가 참여하며, '지역과 삶의 자리', '몸과 기억의 서사', '연결, 이해 그리고 치유'라는 세 가지 키워드를 중심으로 여성의 시선에서 사회와 예술을 다시 바라보는 자리를 마련한다.

30일에는 ‘지역과 삶의 자리’를 주제로 개막작 '날 선 평화의 경계'가 상영된다. 분단과 경계 속에서 평화를 모색하는 여성의 시선을 따라가는 이 작품은 영화제의 서막을 알린다. 같은 날 단편섹션 1 ‘사라진 삶의 자리’에서는 신도시 개발로 터전을 잃은 자연을 다룬 작품들이 상영되며, 기획토크 1에서는 청소노동자의 비가시화된 노동에 대한 이야기가 공유된다.

31일에는 ‘몸과 기억의 서사’를 주제로 한 상영과 강연이 이어진다. 단편섹션 2에서는 여성의 성장과 연대, 자기 정체성을 다룬 작품들이 상영되며, 장편영화 '메릴 스트립 프로젝트'와 기획토크 2 ‘Deposition: 사라진 목소리의 빈자리를 채우기’ 등이 진행된다. 또한, 심연섭 국제영화비평가연맹 한국본부회장의 강연 ‘타오르는 몸의 기억들’도 열린다.

11월 1일 마지막 날에는 ‘연결, 이해 그리고 치유’를 주제로 상영이 진행된다. 단편섹션 3, 4, 5에서는 관계와 회복, 세대 간 연대를 다룬 작품들이 상영되며, 폐막작 '파기상접: 깨진 그릇 붙이기'는 권력형 성폭력 사건을 대응하는 과정을 통해 치유의 메시지를 전한다.

이번 영화제는 메가박스 대구프리미엄만경관의 후원과 함께 시민, 단체, 기업의 자발적 참여로 이루어졌다. 특히, 지역 여성 예술가들의 생태적 커머닝 실천을 조명하는 기획전 '팔현습지를 지키는 예술행동'을 통해 여성, 예술, 환경이 교차하는 새로운 연대의 가능성을 제시한다.

안숙영 대구여성영화제 집행위원장(계명대 여성학연구소장)은 “이번 영화제는 서로 다른 세대와 경계, 언어와 경험의 거리를 넘어 함께 연결되는 우리 모두의 바람을 담고 있다”며, “시민의 손길과 마음이 모여 완성된 이번 영화제가 지역과 시민이 함께 만드는 문화적 실천의 장이 되길 바란다”고 전했다.

신채기 계명대 연구처장은 “대구여성영화제는 여성의 시선으로 세상을 비추며 예술을 통해 평등과 연대의 가치를 나누는 뜻깊은 자리”라며, “시민과 단체의 자발적인 참여로 만들어진 이번 영화제는 대구의 공동체 힘을 보여주는 자랑스러운 문화적 성취”라고 밝혔다.

2025 대구여성영화제는 모든 영화가 무료로 상영되며, 온라인과 현장 예매가 모두 가능하다. 지역 주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계명대 여성학연구소 홈페이지(www.iws.or.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문의는 053-580-5328로 하면 된다.

[전국매일신문] 신미정기자

shinmj@jeonmae.co.kr

저작권자 © 전국매일신문 - 전국의 생생한 뉴스를 ‘한눈에’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