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소벤처기업부가 '글로벌 벤처 4대 강국' 실현을 위해 벤처·스타트업 업계와의 직접 소통에 나섰다. 한성숙 중기부 장관은 “벤처생태계 활성화가 대한민국의 진짜 성장을 이끄는 핵심”이라며 규제혁신, 모태펀드 예산 확대, 신산업 성장기반 강화 등 업계 건의를 토대로 하반기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한성숙 장관은 13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빌딩에서 벤처기업협회, 코리아스타트업포럼, 한국벤처캐피탈협회, 한국엔젤투자협회, 초기투자엑셀러레이터협회 등 벤처·스타트업 관련 주요 협·단체와 만나 현장 애로사항과 정책 건의사항을 청취했다. 이번 행사는 벤처창업 분야에서 진행된 첫 정책현장투어로, 장관이 직접 업계를 찾아 목소리를 듣고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다.
한 장관은 이날 모두발언을 통해 “30년 전 벤처 1세대로서 도전과 성취를 직접 경험했고, 그때의 정체성을 지금도 간직하고 있다”며 “제3 벤처붐은 단순한 투자 확대를 넘어 국가 경제 체질을 바꾸는 질적 전환이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모험자본이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하고, 혁신기술이 신속하게 사업화되도록 지원하며, 세계 최고의 인재가 모이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간담회에서 협·단체들은 △혁신벤처 생태계의 글로벌화를 위한 규제혁신 △벤처·스타트업 전 주기 연계 지원 강화 △신산업 스타트업 성장 기반 마련을 위한 규제샌드박스 고도화 △벤처투자 시장 성장을 견인할 모태펀드 예산 확대 △지역투자 기능 강화 △코스닥 시장 활성화 및 회수 시장 다변화 등을 중점 건의했다.
송병준 벤처기업협회장은 “정부가 벤처 4대 강국 도약 대책 마련에 적극 나서주셔서 그 어느 때 보다 업계의 기대감이 크다”며 “법정기금 벤처 투자 의무화, 코스닥 시장 활성화 정책 등의 정책 건의 사항들이 실제 제도화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전화성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협회장은 “이번 2차 추경으로 모태펀드에서 액셀러레이터형 배정 금액이 편성되면서 업계의 사기를 높이는 계기가 됐고 더욱 확대되길 바란다”며 “또 초기투자액셀러레이터의 의무 투자 기업 업력을 현 3년에서 5~7년으로 완화해주고, 개인투자조합에 법인 출자 한도를 30%에서 50% 상향조정하는 것도 적극 검토해 줬으면 좋겠다”고 건의했다.
중기부는 이번 현장 간담회를 시작으로 벤처·창업, 중소기업, 소상공인 등 분야별 현장투어를 연속적으로 추진해 업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연내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을 마련할 방침이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