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듀플러스]“정부 간섭 대신 민간 주도…에듀테크 업계 '자율 생태계' 촉구”

2025-08-13

에듀테크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서 정부의 간섭보다는 민간 주도의 시스템이 확립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정부가 주도하는 탑다운(Top-down) 사업으로는 빠르게 변화하는 첨단 기술 시대에 발맞춰 나가기가 어렵다는 것이다.

13일 한국디지털교육협회(KEFA), 한국에듀테크산업협회(KETIA), 한국스마트에듀테크협동조합은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AI 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 교육 현장 정책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번 간담회에서 에듀테크 기업 대표들은 현장에서의 애로사항과 앞으로 에듀테크 생태계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의견을 개진했다.

박기현 테크빌교육 에듀테크 부문 대표는 “정부가 기간을 정해 놓은 사업은 제안요청서가 정해지면 변화의 여지가 없다”면서 “기술은 빠르게 변화하는데 정부 주도의 사업 내용이 현실을 따라가기 어려운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상황은 교사 연수 과정에서도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교사 연수를 위한 연수 기관 인증과 콘텐츠 심사를 받는 과정에서 소요 되는 시간이 길다는 것이다. 박 대표는 “교육의 디지털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직무 연수도 패러다임이 바뀌어야 한다”며 “현재처럼 교사 연수를 준비할 때 콘텐츠 심사 통과 과정 등 3개월 이상이 기간이 걸리는 체계로는 AI 시대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공공과 민간의 역할 분리의 중요성에 대한 의견도 나왔다. 이종환 아이포트폴리오 부사장은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을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의 역할을 분리해 AI 인재 양성과 K-에듀 수출 경쟁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부사장은 에듀테크 생태계 조성을 위해 연간 6000억원의 예산을 편성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1만2000개 학교에 연간 5000만원을 지원하고, 기업의 일대일 매칭 투자를 유도해 학교당 1억원의 예산을 확보하자는 것이다.

그는 “공교육 현장을 통해 에듀테크 검증과 증거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기업의 입장에서는 새로운 시장이 열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면서 “좋은 기회를 얻는 것이기 때문에 기업은 투자 가치가 있다”고 설명했다.

노중일 비상교육 글로벌컴퍼니 대표 또한 정부가 간섭하기보다는 지원 정책을 많이 펼쳐야 한다고 목소리를 냈다. 노 대표는 “첨단 기술 시대에는 정부에서 정책을 결정하는 순간 기술은 낙후된다. 전 세계 플랫폼 기업 중 정부 주도로 성장한 기업은 없다”면서 “새 정부에서는 과거의 과오를 반복하지 말고 에듀테크 산업을 지원하되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이 자리에서는 중소 에듀테크 기업들이 공교육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는 요청도 있었다. 정광열 한국스마트에듀테크협동조합 이사장은 “중소기업들이 공교육 시장에 진출하려면 나라장터 조달 시장에 들어가야 하는데 시스템이 경직돼 있다”면서 “기업이 조달 시장에 들어가기도 어렵고 판매 또한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조달청장과 에듀테크 기업과의 간담회를 마련했으면 한다”고 제안했다.

김문수 엠에스코리아 대표는 정부 차원의 에듀테크 산업에 관한 소상공인 수출 지원을 확대해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한국의 교육 기자재가 우수하지만,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은 여전히 어렵다”며 “소상공인에 대한 해외 진출 기회를 정부차원에서 만들어줘야 한다”고 주문했다.

한편, KEFA와 KETIA 등은 이번 간담회를 통해 나온 에듀테크 기업들의 다양한 의견을 취합해 국회와 행정부에 전달할 방침이다.

마송은 기자 running@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