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아세안 포럼이 12월 5일 필리핀 마닐라 아드미랄 호텔에서 열리며, 한국과 아세안의 중·장기 협력 전략을 구체화하는 논의가 본격화된다.
올해 말레이시아 정상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처음 제시한 ‘CSP(Contributor, Springboard, Partner) 비전’을 실행 단계로 옮기기 위한 첫 정책 대화의 장이다.
정부는 2029년 한–아세안 대화관계 수립 40주년을 앞두고 특별정상회의 개최를 준비하고 있으며, 양측 협력을 아세안 최고 단계인 ‘포괄적 전략 동반자’ 수준으로 격상하겠다는 목표를 밝힌 바 있다.
포럼은 이를 실질화하기 위해 학계·싱크탱크·공공 부문 연구자들이 모여 분야별 과제를 점검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CSP 비전은 세 축으로 구성된다. C(Contributor) 부문에서는 인적 교류를 1,500만 명 수준으로 확대하고 청년의 교육·문화 경험을 넓히는 제도 구축이 논의된다. S(Springboard) 부문은 교역 3,000억 달러 달성을 목표로 디지털 산업 연계, 공급망 협력 등 경제 성장 전략을 다룬다.
P(Partner) 부문에서는 치안·안보 협력과 초국가범죄 대응, 한국 경찰–아세아나폴 협력 체계 구축이 주요 의제로 다뤄질 예정이다.
이번 포럼은 고려대 아세안센터, 스트랏베이스 연구소, 필리핀국립대학교 한국학연구소와 협력해 지오폴리틱스인사이트가 주관한다.
아세안 회원국 대사단과 정부 실무자, 연구진이 참여해 사회문화·경제·정치안보 3개 세션을 중심으로 협력 구조를 체계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정책 제언을 제시할 계획이다.
주최 측은 “한국과 아세안의 협력 수요는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맞는 장기 비전과 실행 계획이 필요하다”며 이번 포럼이 실질적 정책 방향을 도출하는 출발점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