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영화 '빅 쇼트'의 실제 인물로 유명한 공매도 투자자 마이클 버리가 운영하는 투자회사가 미 금융당국에 등록된 금융회사 지위에서 해제된 것으로 나타나 그 배경을 두고 궁금증을 자아내고 있다.
13일(현지시간) 연합뉴스는 미 증권거래위원회(SEC) 전자공시를 인용, 버리가 운영하는 사이언 자산운용은 지난 10일부로 SEC 등록 투자자문회사 지위가 해제됐다고 전했다.
운용자산 규모가 1억 달러(약 1천470억원) 이상인 투자자문사는 금융 당국에 등록해 정기적으로 회사 운영현황 신고서를 제출할 의무가 주어지지만, 운용 규모가 1억 달러 미만인 경우 당국에 신고서를 제출할 의무가 없다.
일각에선 버리가 운용하는 펀드가 손실 누적으로 운용자금이 의무 신고기준 미만으로 줄어든 것 아니냐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SEC 공시에 따르면 사이언 자산운용은 지난 3월 말 기준 운용자산 규모가 1억5천500만 달러였다.
버리는 최근 들어 인공지능(AI) 열풍이 1990년대 말의 닷컴버블과 유사하다며 'AI 거품론'을 지속해서 제기해왔다.
그러나 버리의 경고와는 달리 뉴욕증시 3대 지수는 최근 몇 달 새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강세 랠리를 지속해왔다.
블룸버그 사이언 자산운용이 문을 닫았거나 외부 투자자 자금모집을 중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버리는 SEC 등록 해제 사실을 스스로 공개하며 자신이 AI 거품의 붕괴에 여전히 베팅하고 있음을 공개적으로 알렸다.
버리는 전날 밤 엑스(X·옛 트위터)에 사이언 자산운용의 등록 해제 상황을 담은 화면 사진을 공유하며 "11월 25일 더 좋은 일이 기다리고 있다"라고 예고했다.
그는 다만, SEC 등록 해제 배경에 대해선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았다.
버리는 2008년 금융위기를 앞두고 미국의 비우량 주택담보대출(서브프라임 모기지)의 몰락에 베팅하고 큰돈을 벌어 유명해진 인물이다.
그의 투자 스토리는 마이클 루이스의 책 빅 쇼트에 소개됐고, 동명의 할리우드 영화로도 제작됐다.
버리는 전날 SEC 등록 해제 사실을 공유하면서 AI 관련 종목의 폭락에 베팅하고 있음을 공개했다.
버리가 자신의 엑스 계정에 공개한 '인증샷'에 따르면 버리는 2027년 1월까지 팰런티어 주식을 주당 50달러에 매도할 수 있는 풋옵션을 대량 보유했다. 12일 종가 기준 팰런티어 주가는 184달러다.
그는 엔비디아 주식을 2027년 12월까지 주당 110달러에 매도할 수 있는 풋옵션도 보유했음을 알렸다. 이는 12일 종가 대비 43% 낮은 수준이다.
이 같은 그의 투자는 AI 붐을 대변하는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와 팰런티어의 주가 폭락 시 큰돈을 벌 수 있는 구조라고 연합뉴스는 설명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데이비드맨로우 베네핏스트리트 CEO "미국선 기관투자자 펀드는 M&A 대출 규제 안 해"[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CC76KG_1.jpg)



![[글로벌 마켓 리포트 11월 12일]](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