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민간 전환 성공 성과에도 숙제 '산적'
내년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 예산 15% 삭감
차세대 발사체 2년째 표류…헤리티지 불투명
업계 "연속성 끊기면 민간 우주역량 급속 약화"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가 27일 새벽 4차 발사에 성공하며 국내 우주 수송 능력을 입증했지만, 미래 우주개발의 핵심으로 꼽히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은 예산 삭감과 사업 지연으로 어려움에 처해있다.
이날 오전 우주항공청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에서 누리호를 발사, 차세대중형위성 3호와 큐브위성 12기를 목표 궤도에 안착시켰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는 민간 기업인 한화에어로스페이스가 체계종합기업으로 참여한 첫 사례다. 향후 5, 6차 발사에서도 민간 기업의 참여 확대와 함께 우주개발이 민간 중심으로 전환하는 기준점이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다만 내년도 우주 수송 분야 예산이 줄어들면서 관련 연구를 꾸준히 이어갈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부의 2026년도 우주항공청 예산안에 따르면 전체 규모는 1조1131억원으로 올해 대비 15% 증가했지만, 우주수송 분야는 오히려 3106억원에서 2642억원으로 464억원(15%) 줄었다. 누리호 예산이 자연 감소 구간에 진입한 것과 함께 차세대 발사체 사업 변경 등으로 관련 예산이 대폭 줄어든 것으로 분석된다.
우주 수송 부문 예산은 우리 발사체 신뢰성 향상을 위한 누리호 5차 발사 수행, 우주로의 저비용 고빈도 발사 역량을 확보하기 위한 차세대 발사체 개발에 투입될 예정이다.
2년 넘게 진도를 내지 못하는 차세대 발사체 개발 사업도 논란이다. 우주청은 지난 2월 기존 케로신 연료 대신 메탄을 사용하는 재사용 발사체로 개발 방향을 전환하겠다고 밝혔지만, 우주청의 계획 변경이 공식적으로 확정되지 않아 다수 업체들이 반발하는 상황이다.
한편 현재 6차 발사 이후를 계획 중인 누리호 헤리티지(성공 이력)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를 받지 못해 향후 추진 자체가 불투명한 상황이다. 관련 업계에서도 '장기간의 공백'으로 산업생태계 붕괴를 지적하고 있다.

wideopen@newspim.com

![[단독] 기상청 외국산 장비 의존 질타하더니… 정작 국산화 R&D 예산 깎으라는 국회](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20251127518133.jpg)
![[누리호 4차] '첫 야간 발사' 누리호, 성공 기준은?](https://newsimg.sedaily.com/2025/11/26/2H0LT0HIRW_1.jpg)
![[사설] 경쟁국들 전력 쏟는데 K반도체만 ‘주52시간’에 발목](https://newsimg.sedaily.com/2025/11/26/2H0LPLYXWF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