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에서도, 퇴근길에서도. 온·오프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다양한 이슈를 풀어드립니다. 사실 전달을 넘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인 의미도 함께 담아냅니다. 세상의 모든 이슈, 풀어주리! <편집자주>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이 잇따르는 가운데 온라인에서는 여전히 ‘고수익 알바’를 미끼로 한 캄보디아행 유인 글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경찰은 사이버수사대 등을 투입해 의심스러운 구인 글을 차단하겠다고 밝혔지만 현지 범죄 피해가 급증하는 데 비해 대응이 늦다는 지적이 나온다.
“월 3000만~4500만 원 벌 수 있다”… 보이스피싱 본거지 ‘시아누크빌 알바’

13일 한 국내 커뮤니티 구인 게시판에는 ‘최고의 고수익 일자리, 인생을 바꿀 기회’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캄보디아 시아누크빌에서 TM(텔레마케팅) 직원 모집 중이며 월 1500만~3000만 원은 기본, 지난달 최고 성과 직원은 4500만 원을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작성자는 “벌 수 있을 때 빠르게 벌고 내 인생을 되찾아야 한다” 등의 말로 홍보를 이어갔다.
특히 근무지 시아누크빌은 카지노 밀집 지역이자 보이스피싱·로맨스 스캠 조직의 주요 거점으로 꼽히는 지역이다. 이에 글쓴이는 “감금·폭행 같은 말도 안 되는 일은 없다”, “캄보디아에서 가장 탄탄한 회사”라며 잇따른 한국인 대상 범죄에 대한 의심을 해소하려는 문구를 덧붙였다. 이와 같은 글이 이날 하루에만 20건이 넘게 게시되며 ‘캄보디아 TM 알바’를 내세운 유사한 구인 글이 빠른 속도로 확산됐다.
캄보디아 현지 교민들도 ‘고수익 알바’에 대한 경각심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례들에 캄보디아 현지 교민들도 ‘고수익 알바’에 대한 경각심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 오창수 캄보디아 시아누크빌 교민회장은 YTN 라디오 인터뷰에서 “캄보디아에서 월 1000만 원은커녕 1000달러(약 135만 원) 벌기도 어려운 현실”이라며 “이런 글은 전부 거짓이고 혹해서 오지 않는 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캄보디아에 서류 가져다주실 분”… 40만 원 제시한 ‘심부름 아르바이트’

지난 9일 중고거래 플랫폼 당근마켓에는 '캄보디아에 서류 가져다 주실 분”이라는 게시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형에게 서류를 가져다주면 왕복 항공권을 제공하고, 일당 40만 원을 지급하겠다”고 제안했다. 이어 작성자는 “개인 및 회사 서류들이 있어 용지로 가려서 찍었다”며 구체적인 업무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표면적으로는 단순 심부름처럼 보이지만 고액 일당과 항공권 제공 조건은 최근 납치 사건에서 자주 등장한 수법과 일치한다. 실제로 이 게시글에는 지원자가 여러 명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글을 접한 누리꾼들은 “게시자가 지원자 수를 조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여권 사본을 요구하면 100% 유인 시도”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또 “서류를 보내려면 DHL이나 페덱스를 쓰면 된다. 굳이 사람을 보낼 이유가 없다”, “이걸 믿고 지원하는 사람이 있다는 게 놀랍다”는 반응이 이어졌다.
해당 글은 12분 만에 삭제됐으며 당근마켓 측은 “현재 해외 취업 및 고수익 알바 구인은 전면 금지됐다”고 밝혔다.
‘여행 메이트’ 가장한 개인정보 유출 수법

이달 초에는 당근마켓에 ‘캄보디아 여행 동행자를 구합니다’라는 제목의 게시글이 올라왔다.
작성자는 “10일 정도 시엠립과 프놈펜을 여행할 예정이며 함께 사진을 찍어줄 동료를 구한다”고 소개했다. 이어 여행 동행 목적으로는 “사진을 찍어줄 동료가 필요하다”며 “뷰가 크다 보니 사진 찍어줄 동료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단순한 여행 동행 글처럼 보이던 게시글은 지원자에게 전화번호, 여권 인증샷 등 과도한 개인정보를 요구하며 논란이 됐다. 수사기관은 “이 같은 방식은 ‘신분 확인’ 명목으로 개인정보를 수집해 보이스피싱 조직에 넘기는 전형적인 수법”이라며 주의를 당부했다.
이에 대해 정명규 캄보디아 한인회 회장은 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서류 전달, 여행 동행, 통역 아르바이트 등으로 속여 납치·감금되는 사례가 많다”며 “절박한 청년들이 ‘괜찮겠지’ 하는 막연한 안도감으로 왔다가 피해를 당한다”고 경고했다. 또 그는 “젊은 청년들이 이런 위험한 제안을 구분할 수 있도록 정부와 현지 단체의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캄보디아 치안 인력 뒤늦게 증원… “범죄 급증에 대응 늦었다”
정부와 경찰은 잇따르는 한국인 납치·감금 사건에 대응해 올해 안으로 캄보디아 경찰 주재관을 증원하고, 사이버수사대를 중심으로 온라인상 불법 구인 글 단속을 강화할 방침이다.
14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외교부와 행정안전부 등에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행안부는 지난해 주캄보디아 대사관 경찰 주재관 증원 요청을 불승인했다. 이에 앞서 외교부가 지난해 경찰 주재관 증원을 요청했지만 행정안전부가 “업무량이 인력증원 필요 수준에 못 미친다”며 거절했던 사실이 드러나 늑장 대응 논란이 일고 있다.
하지만 한국인 대상 범죄는 ▲2022년 81건 ▲2023년 134건 ▲2024년 348건으로 3년 새 4배 이상 급증했다. 반면 현재 주캄보디아 한국대사관에는 경찰 주재관 1명과 협력관 2명 등 3명이 근무 중이며, 협력관 2명은 지난해와 올해 직무파견 형태로 추가된 인력이다.
이에 행안부는 최근 외교부 요청을 받아 연내 수시직제 형태의 주재관 증원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위 의원은 “국민 안전을 위한 최소한의 조치조차 뒤늦게 나선 것”이라며 “국정감사에서 책임을 따질 것”이라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