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연일 이어지는 폭염과 고농도 미세먼지, 그리고 초고령 사회의 본격 진입이 맞물리며 '숨 쉴 공기'가 새로운 복지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케어로봇 전문기업 라이노스는 28일 3세대 대용량 산소발생기 '휠리O₂울트라프리미엄(5L급)'을 출시하고, 교육·복지·공공 시장을 겨냥한 보급 확대에 나섰다고 밝혔다.
세종환경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교실 내 이산화탄소 농도가 1,500ppm을 넘으면 학습 효율이 20~30% 떨어진다. WHO 역시 실내 적정 기준을 1,000ppm 이하로 권고한다.
수능을 80여일 앞둔 시점에서, 경기 분당에 사는 학부모 이 모 씨(47)는 "창문을 열면 미세먼지가 걱정되고 닫으면 답답했다"며 "휠리오투를 설치한 뒤 아이가 공부할 때 집중력이 확실히 좋아졌다"고 말했다.
노인 건강 문제도 시급하다.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한국의 65세 이상 인구 비율은 20.1%로 사상 처음 20%를 넘어섰다. 세종환경연구소 관계자는 "고령층에게 산소는 단순한 편의가 아니라 생존과 직결되는 필수 요소"라며 "실내 산소 공급은 고령 사회 복지정책의 중요한 축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라이노스가 선보인 휠리O₂ 울트라프리미엄은 4중 필터 설계를 통해 소음을 크게 줄였고, 질소 분리·배출 시스템을 적용해 밀폐 공간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급형 1L, 프리미엄 3L, 대용량 5L, 차량용·휴대용 모델까지 풀라인업을 완성해 다양한 수요를 아우르게 됐다.
국내 시장 전망도 밝다. 정부는 올해 노인복지 예산을 21조 원으로 확대했으며, 이 중 실내 환경·호흡기 건강 관련 사업이 꾸준히 늘고 있다. 업계는 산소발생기 시장이 향후 5년 내 최소 수십 배 이상 성장할 잠재력이 있다고 내다본다.
라이노스는 공공사업 전문기업 ㈜와이에이치(대표 손정익)와 손잡고 학교·공공기관 보급을 본격화한다.
해외 시장 역시 주목된다. 일본의 산소헬스 시장은 연 3천억 엔 규모로 추정되고, 미국의 산소치료 기기 시장은 연평균 8% 성장률을 기록하고 있다.
라이노스 연구소는 차세대 AI 산소발생기 개발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실내 공기질을 자동 탐지해 상황에 맞는 산소를 공급하는 지능형 모델로, 내년 하반기 상용화를 목표로 필드 테스트가 진행 중이다. 이동엽 연구소장은 "AI 산소발생기는 단순한 기기가 아니라 생활환경 데이터를 분석해 맞춤형 산소를 제공하는 새로운 '스마트 복지 인프라'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