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거래소는 올해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 공시 현황을 점검한 결과, 공시 기업 수와 전체 핵심지표 준수율이 전년보다 상승했다고 밝혔다. 다만 기업별로 자산 규모에 따라 이행 수준 차이는 여전히 큰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거래소가 발표한 '25년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 점검 및 분석 결과'에 따르면 2024년 사업연도 기준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를 공시한 기업은 자산총액 5000억 원 이상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541곳과 자율공시 기업 8곳을 합해 총 549곳이다. 이들 기업의 핵심지표 평균 준수율은 55.3%로 전년(51.2%)보다 4.1%포인트 상승했다. 전자투표 도입과 주주총회 분산 개최 비중이 확대되며 주주 의결권 행사 환경도 개선되는 흐름이 확인됐다.
다만 자산규모별 이행 수준 차이는 뚜렷했다. 자산 2조 원 이상 기업의 핵심지표 준수율은 67.1%였던 반면, 5000억~1조 원 구간은 38.6% 수준에 그쳤다. 특히 이사회 성별 다양성 지표의 경우 자산 2조 원 이상 기업의 준수율은 80.9%, 5000억~1조 원 구간은 27.5%로 50%포인트 넘는 격차가 발생했다. 이사회 독립성과 다양성 확보가 기업 규모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난 셈이다.
감사기구 운영 수준에서도 차이가 관측됐다. 내부 감사기구가 외부감사인과 정례적으로 분기별 회의를 진행한 기업 비중은 자산 2조 원 이상에서 84.1%, 5000억~1조 원 구간은 30.3%였다. 이는 53.8%포인트에 달하는 격차로, 거래소는 "감사기구 구성·제도 관련 지표는 지속적으로 높은 준수율을 보이지만 운영 관련 지표는 추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배당정책 관련 정보 제공 역시 온도차를 보였다. 배당 정책·배당 실시 계획을 연 1회 이상 주주에게 안내한 기업 비중은 자산 2조 원 이상 기업이 66.8%, 5000억~1조 원 구간은 19.7%로 47.1%포인트 차이를 기록했다.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정책의 핵심인 배당 관련 공시에서도 중견사 중심의 이행 속도가 비교적 느린 것으로 풀이된다.
거래소에 따르면 내년부터 기업 지배구조 보고서의 의무 공시 대상은 코스피 상장사 전체로 확대된다. 이에 거래소는 상장사를 대상으로 원활한 공시를 위해 안내 자료 배포, 보고서 작성 관련 일대일 컨설팅, 교육 프로그램 진행 등을 단계적으로 지원할 방침이다.

![[투자의 창] 상법개정 기업 대응의 두 축](https://newsimg.sedaily.com/2025/11/05/2H0C57MIMI_1.jpg)



![[GAM]동절기 랠리에 오른 '중국 석탄주'② 기관의 투자전략 조언](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에이피알·HD현대마린솔루션, MSCI 한국지수 신규 편입 [마켓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6/2H0CKMDF5I_1.jpg)

![[컨콜] 신종환 카카오 CFO "3분기 일회성 요인 없어…4분기 톡비즈·커머스 성장, 콘텐츠는 조정 국면"](https://img.newspim.com/news/2024/11/07/241107080451795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