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7752억원 영업이익 전망...1분기 통신 3사 최고치 유력
SKT·LGU+도 성장 기대...합산 영업익 1.5조원 돌파 전망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지난해 인건비 등 일회성 비용을 털어낸 이동통신사들의 1분기 실적에 파란불이 켜졌다. 견조한 유무선 실적에 인공지능(AI) 수익화가 더해지면서 전년 동기 대비 실적 개선이 전망되고 있다.
3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이동통신사 합산 영업이익은 1조5444억원으로 전망된다. 이는 전년 동기의 이통 3사 영업이익 합산인 1조2169억원보다 3000억원 이상 늘어난 수치다.

개별적으로는 SK텔레콤이 영업이익 5260억원, KT가 7752억원, LG유플러스가 2432억원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눈에 띄는 곳은 역시 KT다. 지난달 15년 만에 주가 5만원대를 넘어서며 통신 대장주 자리에 올랐던 KT는 1분기 실적에서도 가장 높은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KT는 일부 증권사에서 1분기 8000억원 이상의 영업이익을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도 나왔다. 하나증권은 KT의 1분기 영업이익이 본사 4574억원, 연결 기준 8824억원으로 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자회사의 정리로 수익성 개선이 본격화되고 아파트 분양이익이 올해 1~2분기에 반영될 전망이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2분기 내 마이크로소프트와 협력해 국내 시장에 최적화된 한국적 AI도 선보인다. KT는 앞서 개최된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25에서 기업용(B2B) AI 에이전트 4종을 공개하기도 했다.
SK텔레콤 역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영업이익 성장이 전망된다. SK텔레콤은 지난해 희망퇴직을 단행하면서 일회성 인건비를 반영했다.
5세대(5G)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이동전화 매출의 안정적인 증가세도 전망된다. 공정거래위원회가 판매장려금 담합을 이유로 1140억원의 과징금 부과 결정을 내리기는 했지만 이는 지난해 4분기의 영업외 비용으로 기반영됐다. 불확실성이 해소된 것이다.
SK텔레콤은 올해 선택과 집중을 통한 AI 성과에 최적화된 'AI 피라미드 2.0' 전략을 본격화한다는 계획이다.
AI 데이터센터(AI DC) 영역에서는 ▲구독형 AI 클라우드 GPUaaS(GPU as a Service)서비스 ▲소규모 모듈러(Modular) AI DC ▲단일 고객 전용(Dedicated) AI DC ▲하이퍼스케일급 AI DC 등 총 4대 사업 모델로 세분화해 시장 공략에 나선다.
AI B2B영역에서는 기존 SKT의 AI기술을 활용한 엔터프라이즈 AI와 두 자릿수 성장을 목표로 하는 AI클라우드에 이어 올해 출시가 예정된 AI B2B 에이전트 '에이닷 비즈'를 통해 수익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유영상 SKT 대표이사 CEO는 지난달 열린 정기주주총회에서 "2025년 SK텔레콤은 AI사업 고도화를 통해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고 주주가치와 기업가치를 극대화할 것"이라며 "AI로 구체적인 성과를 보이고 '한국형 AI 생태계' 조성에도 앞장설 것"이라고 밝혔다.
LG유플러스의 1분기 전망도 긍정적이다. 2432억원의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0.1% 성장한 수치다. LG유플러스의 영업이익이 두 자릿수로 성장한 것은 3년 만이다.
전년 동기 대비 이동전화와 B2B 서비스 매출의 증가와 함께 인건비, 마케팅비, 감가상각비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전망된다. LG유플러스는 1분기는 물론 2025년 전체적으로도 9000억원대의 영업이익 달성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김홍식 하나증권 연구원은 "통신 3사 모두 1분기 우수한 실적을 발표할 것으로 전망된다"며 "공정위 과징금 비용도 기반영해 리스크가 소멸됐고 연간 이익 성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며 주가에 선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