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낙동강을 중심으로 녹조가 확산되는 가운데, 정부가 기존에 사흘 이상 걸리던 조류경보 발령 일자를 당일로 앞당기기로 했다. 고농도 녹조 구역 등에 대한 모니터링도 확대해 정보를 공개할 방침이다.
환경부는 녹조 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첫걸음으로 그간 개선 요구가 있었던 조류경보제에 대해 채수 위치를 조정하고 경보발령 일자를 채수 당일로 앞당기는 등 제도 개선을 8월 말 즉시 추진한다고 19일 밝혔다
녹조가 가장 심한 낙동강의 경우, 4개 지점에서 조류경보제를 운영하고 있다. 이날 기준으로 4곳 모두 조류경보가 발령됐으며, 강정고령보는 지난 14일부터 ‘관심’ 단계에서 ‘경계’ 단계로 상향 발령됐다.
하지만, 현재 조류경보제는 취수구 상류 2~4㎞ 지점에서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경보 발령까지 3.5일이 소요돼 녹조 발생에 선제적인 대응이 어렵다는 지적이 있었다.
환경부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채수 위치를 수돗물 생산을 위한 원수 취수구 인근 50m 이내로 조정한다. 또한 채수 후 즉시 남조류 세포 수 분석이 가능하도록 분석 체계를 개선해 경보발령 일자를 채수 당일 발령 체계로 전환한다. 이를 위해 이동형 수질분석차량을 현장에 배치할 예정이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이날 브리핑에서 “녹조 정보를 취 ·정수장의 근처에서 하기 때문에 정수처리 강화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거라고 판단한다”고 설명했다.
강가 및 고농도 녹조 구역 등에 대한 감시(모니터링)도 병행한다. 분석 결과는 물환경정보시스템을 통해 공개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바뀐 조류경보체계를 녹조가 심한 낙동강 하천구간에 우선 적용하며, 추후 전국으로 확대해 적용할 방침이다.
이 밖에도, 현재 조류경보제는 남조류세포수 단일 기준을 통해 발령 단계를 결정하고 있는데, 환경부는 연말까지 법령을 개정해 조류독소(마이크로시스틴) 농도까지 고려해 조류경보를 발령할 계획이다.
환경부 장관 “임기 내 녹조 해결 기반 마련”
환경부는 시민사회와 입장이 달랐던 공기 중 조류독소 문제에 대해서도 공동조사를 위한 협의를 재개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흡입 독성시험 등 공기 중 조류독소의 위해성 연구도 올해 하반기부터 추진할 방침이다.
한편, 환경부는 녹조 오염원을 원천 차단하는 등 기후위기로 점차 심화되는 녹조 문제의 실질적인 해결을 위한 대책도 올해 안으로 수립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된 4대강 재자연화 대책도 추후 별도 마련할 계획이다. 김 장관은 “이번 조치를 시작으로 이번 정부 임기 내에 녹조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겠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