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의류, 가죽, 보석류 등 노동집약적 산업의 중소기업 지원에 방점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나렌드라 모디 인도 정부가 미국의 고율 관세 부과로 충격을 입은 자국 수출업체들을 지원하기 위해 7조원을 풀기로 했다.
13일 로이터 통신과 비즈니스 스탠다드(BS) 등에 따르면, 인도 연방정부는 미국의 50% 관세 부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수출업체, 특히 중소기업을 지원하고자 총 4506억 루피(약 7조 4530억 원) 규모의 지출안을 승인했다.
지출안에 따르면, 2000억 루피는 은수출업체 신용보증 제도(CGSE)에 쓰이고, 2506억 루피는 수출진흥임무(EPM)에 배정됐다.
이 중 EPM은 2025/26회계연도(2025년 4월~2026년 3월) 연방예산에 포함된 내용이다. EPM에 배정된 자금은 이번 회계연도부터 2030/31회계연도까지 약 5년여에 걸쳐 집행되며, 이번 회계연도에는 225억 루피가 먼저 배정될 예정이다.
EPM은 특히 섬유, 가죽, 보석, 엔지니어링 제품 등 노동집약적 산업에 대한 무역금융 및 국제 시장 접근성 제고 지원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고 BS는 전했다.
이와 함께 수출업체들은 CGSE를 통해 내년 3월까지 업체당 최대 5억 루피의 무담보 은행 대출을 받아 경쟁력 회복이나 수출 시장 개척을 도모할 수 있다.

인도 정부의 이 같은 지원 방안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지난 8월 말부터 대부분의 인도산 수입품에 총 50%의 관세를 부과한 뒤 인도 수출업체들의 어려움이 커진 가운데 나온 것이다.
BS는 모디 총리가 일주일 전 미국의 고율 관세로 가장 큰 피해를 입은 분야의 관계 기관 최소 6곳과 회의를 가진 뒤 이 같은 지원 방안이 발표됐다고 짚었다.
미국의 50% 관세를 적용받는 인도산 수출품에는 의류, 보석류, 가죽제품, 약품 등이 포함된다.
인도 수출업계는 이들 품목의 이윤이 3~5% 수준에 그쳤던 상황에서 미국의 고율 관세까지 더해지며 관련 업계가 가장 심한 타격을 받았다고 밝혔다.
인도 상무부 산하 인도수출기업연합회(FIEO)의 S. C. 랄한 회장은 "인도의 대미 수출품 중 약 55%가 베트남과 중국, 방글라데시 등의 경쟁업체에 비해 가격 경쟁력을 잃고 있다"며 정부 지원을 호소하기도 했다.
BS에 따르면, 인도 수출산업은 직간접적으로 4500만 명 이상을 고용하고 있고, 중소기업은 인도 전체 수출의 약 45%를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50% 관세가 처음으로 한 달 내내 부과됐던 지난 9월, 인도 상품의 대미 수출액은 54억 3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대비 20% 이상, 전년 동기 대비로는 약 12% 감소한 것으로, 섬유·새우·보석류 등 수출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hongwoori84@newspim.com

![[사설] 수출·환율 불안 커지는데 반도체법·K스틸법 처리 왜 늦추나](https://newsimg.sedaily.com/2025/11/12/2H0FAMLUMU_1.jpg)
![전략산업 투자, 대기업·PE·정책금융 3자 동맹 본격화 [AI 프리즘*기업 CEO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13/2H0FSMW2FL_1.jpg)
![[단독] 여천NCC 대여금 출자전환…원료공급 계약도 연내 체결](https://newsimg.sedaily.com/2025/11/13/2H0FUEULXM_3.jpg)

![[이슈체크] “PF 2.5조 턴다”…저축은행 연체율 급락, 진짜 회복일까](https://www.tfmedia.co.kr/data/photos/20251146/art_17630192584356_ed9417.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