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최대공정가격(MFP) 정책, 바이오시밀러에 기회"

2025-10-25

내년부터 미국 정부가 의약품 최대공정가격(MFP) 정책을 시행하며 바이오시밀러에 우호적인 환경이 조성될 거란 분석이 나왔다.

25일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전직 메디케어 고위 임원 윌리엄 플레밍 박사는 삼성바이오에피스 ‘4분기 미국 바이오시밀러 동향 보고서’에서 “미국 정부의 MFP정책에 따라 PBM들이 리베이트 중심 구조에서 벗어나 순가격에 초점을 맞추기 시작했다"며 “바이오시밀러의 등재가 더 적극적으로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바이오시밀러가 MFP 가격보다 저렴한 만큼 MFP 가격으로 인한 손실을 메우려 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MFP는 2022년 바이든 정부 IRA의 일환으로 시작된 정책으로 내년 1월 첫 시행을 앞두고 있다. 현재 10개 약품이 지정된 상태로 최대 79% 할인된 가격이 적용된다. 협의 당시 바이오시밀러가 출시되지 않은 제품들이 대상으로 최근 바이오시밀러가 출시된 스텔라라는 물론 바이오시밀러가 허가됐지만 소송으로 출시되지 못한 엔브렐 등의 오리지널 의약품이 대상이다.

다만 MFP가 장기적으로 바이오시밀러 산업에 부정적인 영향도 미칠 수 있다는 의견도 나온다. 미 정부는 2030년까지 총 80개 약품을 순차적으로 협상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다. 플레밍 박사는 “MFP 가격이 충분히 싸다면 바이오시밀러 경쟁력이 의미 없어질 수 있다”며 “아직 개발되지 못한 바이오시밀러의 경우 개발 및 투자가 위축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PBM이 보험과 약국을 모두 관리하는 경향이 많은 만큼 자체 브랜드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 MFP 시해으로 의약품 가격 상한선이 정해지며 빅파마와 리베이트 협상이 어려워진 반면 PBM 자체 브랜드는 바이오시밀러 개발사와 구입 가격 협상은 물론 약국과 판매 가격도 모두 PBM이 정할 수 있어서다. 플레밍 박사는 “직접 브랜드를 보유하면서 자사 제품을 우선할 수 있다”며 “기존에 가장 저렴하거나 혁신적인 제품이 선택됐던 것과 다른 양상이 펼쳐질 것”이라 전망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