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상의-창업기업 머리 맞대는 '개방형 실험실', 사업화까지 지원 확대

2025-04-14

임상의와 창업기업이 함께 새로운 제품을 개발하는 개방형 실험실 사업이 진화한다. 단순 협업에 그치지 않고 매출 창출로 이어지도록 후속과제 지원에 초점을 맞춘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최근 개방형 실험실과 연계한 사업화 연계 방안 마련에 착수했다. 임상 현장에서 바이오헬스 분야 유망기술을 도입할 수 있도록 후속과제 신설을 중점 검토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2019년 신설한 개방형 실험실은 우수 연구 역량·인프라를 보유한 병원에 창업기업 육성 공간과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사업이다. 임상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제품을 개발하고도 병원과 접점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던 창업기업이 임상의 자문과 제품 평가를 받는 것이 특징이다.

대표적으로 디앤씨바이오테크놀로지가 아주대병원 진단검사의학과 임상 교수 멘토링을 거쳐 검체 수집 후 바로 결과 분석·전송이 되는 차세대 소변검사기를 개발했다. 6년 동안 1400명이 넘는 임상의가 창업기업에 자문을 제공했다.

복지부는 최근 양산부산대병원, 인하대병원, 고대구로병원, 동국대 일산병원, 아주대병원, 이대목동병원 등 6곳을 개방형 실험실 운영 주관기관으로 선정했다. 이들 병원은 2026년까지 2년간 개방형 혁신(오픈이노베이션) 전용공간 조성, 임상 컨설팅, 임상의·기업 공동 연구회 등을 지원한다. 해마다 20개 이상의 창업기업을 발굴해야 한다.

복지부와 보산진은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3년간 259건의 '임상의-창업기업' 협업과제를 도출했지만, 이 중 다수 과제가 연구기획 단계에 그쳤다고 봤다. 이에 후속 사업을 새롭게 만들어 우수 기술은 사업화를 달성하도록 지원하려는 것이다. 기초원천연구부터 상용화 연구까지 연구개발(R&D)을 단절 없이 지원하는 '이어달리기' 개념이 개방형 실험실 사업에도 도입되는 셈이다.

복지부는 이를 위해 올해 8월 말까지 사업화 연계 지원사업 목표와 단계별 추진계획, 사업 관리 방안 등을 도출한다. 산·학·연·병 전문가위원회를 운영하며 병원-기업 협업과제의 국내외 동향을 분석하고, 추진 사업의 정책적·기술적·타당성을 면밀히 따질 계획이다.

보산진 관계자는 “현재 개방형 실험실 사업은 창업기업 지원에 중점을 두고 있어 사업화까지 성과 창출에 어려움이 있었다”면서 “신설 추진사업 방식의 구체적 방안은 종합적인 검토 후 결정하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