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 체제에서 최근의 부당대출 사고 등 논란을 수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19일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열린 은행장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우리은행 내 현실적으로 파벌도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흐트러진 상황에서 임종룡 회장이 갑자기 빠지게 되면 거버넌스와 관련해서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임 회장의 임기는 2026년 3월까지다. 이 원장이 임 회장의 임기와 관련해 공식적으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손태승 전 회장 관련 친인척 부당대출 발생의 책임이 임 회장에게도 있다는 의미다. 이 원장은 "금융 당국 입장에서는 임 회장이 임기를 지키고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겠다고 생각하지만, 거꾸로 회장과 행장 입장에서는 직을 걸고 체질 개선 및 환골탈태를 이끌어야 한다"고 했다. 최근 금감원은 손 전 회장 관련 부당대출 730억원 가운데 61.8%인 451억 원이 임 회장 임기 중에 발생한 것으로 파악한 바 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에 대한 경영실태평가 결과 도출에 대해서는 엄연히 독립된 문제라며 선을 그었다. 우리금융은 동양생명과 ABL생명 등 보험사 인수를 추진하고 있다. 경영실태평가 결과가 3등급 이하로 나올 경우 인수에도 빨간불이 켜질 수 있다. 이 원장은 "우리금융 거버넌스가 유지된 채 사태를 수습해야 한다는 당위와 (우리금융이 외연 확장을) 아무렇게 해도 된다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라며 "경영실태평가 도출 및 그 이후 이어질 자회사 편입 문제 등은 원칙대로 엄정하게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원장은 이어 “경영실태평가가 설사 좋게 나온다고 해도 현재 거버넌스에서 외형을 확장하는 것이 맞는지 고민해 봐야 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