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TV=양대규 기자] 트럼프 정권의 재집권으로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미국 수출에 제동이 걸릴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환율 변동과 한국차에 대한 관세 부과, 전기차 보조금 축소 등이 큰 변수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8일 송선재 하나증권 리서치센터 연구원은 트럼프 정부가 재집권하면서 국내 자동차 시장에 일부 위협이 될 것이라는 내용을 담은 '트럼프 2.0과 자동차'라는 보고서를 발표했다.
송선재 연구원은 "트럼프 2기가 시작되면, 한국 자동차 업체들은 현재보다 불편한 시장 환경에서 경쟁해야 할 것"이라며 "트럼프의 공약과 발언들이 전부 현실화된다면, 한국 자동차 업체들에게 전반적으로 중립 이하의 영향이 예상된다"고 경고했다.
그는 "다만, 한국 자동차 업체들의 글로벌 경쟁력이 크게 높아져 있고 시장 대응력도 뛰어나기 때문에 변화된
환경에 적응하면서 극복할 수 있는 영향권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송 연구원은 가장 큰 변수로 환율과 관세를 짚었고 이어 자동차 산업 정책의 변화가 될 것으로 보았다.
그는 "가장 먼저 주시해야 할 것은 원/달러 환율"이라며 "국내 생산물량의 65%가 수출되고, 글로벌 판매 중 해외 비중이 82%에 달하기 때문에 환율이 채산성에 미치는 영향은크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국내 완성차의 2023년 영업이익 9.7조원 증가 중 환율 상승의 기여분이 1.2조원이었다. 2024년 3분기 누적 영업이익 증가 0.5조원 중에서는 환율이 2.5조원 기여했다.
관세 정책에 대해서는 "우선 한국산을 포함한 수입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부과한다면, 한국발 대미 수출 물량(57% 비중)의 가격 경쟁력이 약화되고 이를 만회하기 위해서는 일부 수익성 하락을 감수해야 한다"며 "현대차 그룹이 현지 생산을 늘려 왔지만, 현지 생산에 적합하지 않은 모델들도 있고, 글로벌 생산 최적화 측면에서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점에서 부정적일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이어 "NAFTA 재협상 및 관세 부과로 멕시코 공장의 전략적 이점도 축소될 수 있다"며 "관세 수입으로 개인세/법인세를 인하하면 자동차 소비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은 상쇄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자동차 산업 내 정책 변화에 대해서 "트럼프 주장대로 IRA 보조금 축소 및 CAFÉ 제도의 수정 등 친환경차 정책이 후퇴하면 미국 전기차 시장의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며 "이는 한국 완성차들에게는 단기 중립적"이라고 분석했다.
이는 한국 완성차들은 전기차 이외에도 내연기관차 및 하이브리드차 등 다양한 차종으로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다만 중장기적으로는 부정적 영향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한다고 송 연구원은 주장했다. 미국의 전기차 전환 둔화는 미국 내 전기차 생산과 판매에 대한 규모의 경제 달성을 더디게 하기 때문이다.
그는 "중국의 전기차 전환이 급속도로 진행 중이고, 중국 업체들이 자국 내 판매를 통해 규모의 경제와 기술 축적을 진행 중인 상황에서 중국과 미국의 전기차 격차 확대는 전기차 시장에서의 리더쉽을 테슬라 및 중국 전기차업체들로 고착화시킬 수 있는 위험"이라고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