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교도관입니다
‘나는 교도관입니다’ 시즌2
대한민국의 모든 악행이 집결한 곳, 바로 교도소입니다. 지도에 표시되지 않고, 내비게이션에서 검색도 되지 않는 이곳에 김도영 교도관은 9년째 매일 출근합니다. 천인공노할 죄를 저지르고 피해자 탓을 하는 사람들, 누군가의 인권을 짓밟고 자신의 인권을 주장하는 사람들, 이들의 비뚤어진 마음을 어떻게 바로잡을 수 있을까요? 어디에서도 본 적이 없는, 진짜 교도소 이야기. ‘나는 교도관입니다’ 시즌2를 시작합니다.
제1화. 살인자와의 인터뷰

꼭 한번 묻고 싶었다.
“그날, 왜 그랬어요?”라고.
살인자를 만나면
누구나 가장 먼저 던지고 싶은 질문.
그리고 누구도 쉽게 답을 얻지 못하는 질문.
사형수를 의미하는 새빨간 명찰.
그가 내 앞에 마주 앉았다.
나와 그 사이의 거리는 정확히 1m.
교도소 상담실의 철제 책상 하나만이
우리 사이에 놓여 있었다.
남자의 손목을 잡고 수갑을 풀었다.
순간 남자의 손에 솟은 체모,
피부의 끈적거림이 느껴졌다.
이 손으로 사람을 죽였다니.
수갑이 풀린 남자는 손목을 천천히 문지르며,
들릴 듯 말 듯한 목소리로 말했다.
울지 않았다고요?
아니오. 나중엔 울었어요. 많이.
무표정하던 남자의 얼굴에
갑자기 생기가 돌았다.
자기가 죽을 줄 모르고 웃다가 울었어요.
그의 입꼬리가 살짝 올라가는 게 보였다.
재미있지 않아요? 몇 분 후에 죽을지도 모르고 웃었다는 게.
남자의 얼굴에 생기가 돌았고
그는 피해자를 어떻게 살해했는지
더욱 자세히 묘사하기 시작했다.
그만! 그만 얘기하세요.
더 이상 듣고 싶지 않았다.
심리상담의 기본 원칙이
공감과 경청이라지만,
과연 사람을 살해한 이야기를
공감하고 경청하는 것이 가능할까.
갑자기 남자의 표정이 붉어지더니
책상을 손가락으로 툭툭 두드렸다.
한동안 우리 사이에 침묵이 감돌았고
그가 책상을 두드리던 손가락을 멈췄다.
그때였다.
탁!
그가 철제 책상을 세게 내리쳤다.
나는 반사적으로 몸을 뒤로 뺐지만
남자는 이미 철제 책상을 딛고
나에게 달려들고 있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