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웅진, 상조 1위 프리드라이프 8830억에 품는다…“토탈 라이프케어 플랫폼 육성” [시그널]

2025-04-29

웅진(016880)그룹이 국내 1위 상조업체 프리드라이프를 8830억 원에 인수한다. 사모펀드(PEF) 운용사 VIG파트너스는 2016년 좋은라이프 인수로 상조업에 뛰어든 후 9년 만에 엑시트(자금회수)하게 됐다.

  • 29일 투자은행(IB) 업계에 따르면 웅진은 VIG파트너스와 콜버그크래비스로버츠(KKR)가 보유한 프리드라이프 지분 99.77%를 8830억 원에 인수하기로 이날 주식매매계약(SPA)을 체결했다. 우선 인수 총액의 10%인 계약금 883억 원을 납입하고, 잔금은 다음달 말까지 지급하기로 했다. 남은 지분 0.23%는 VIG파트너스와 무관한 개인 주주 소유 물량이다. 추후 웅진은 이 물량도 사들일 계획이다. 프리드라이프는 지난해 말 기준 선수금 2조 5600억 원을 보유한 상조 업계 1위다. 상조 시장은 2029년까지 연 평균 5%씩 성장할 전망이다.

VIG파트너스는 이번 프리드라이프 매각으로 투자 원금(약 3000억 원) 대비 매각 차익, 배당 이익 등을 합쳐 약 3배 가량을 회수한 것으로 분석된다. VIG파트너스는 3호 펀드를 통해 지난 2016년 좋은라이프를 인수하며 처음 상조업에 발을 들였다. 이후 볼트온(동종기업인수) 전략으로 금강문화허브, 모던종합성조를 사왔다. 2020년에는 4호 펀드로 프리드라이프를 인수한 뒤 두 회사를 합병했다.

웅진은 프리드라이프 인수를 위해 주주가치 방어와 재무건전성 유지를 최우선으로 두고 자금조달 구조를 짰다. 우선 유상증자가 아닌 1000억 원대 신종자본증권(영구채) 발행과 5000억 원대 인수금융 등으로 자금을 조달해 주주가치를 방어했단 설명이다. 재무건전성 유지 측면에서는 WJ라이프홀딩스와 WJ라이프라는 두 개의 특수목적법인(SPC)을 세워 자금조달 주체와 인수주체를 분리해 모회사 웅진에 대한 재무위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했다. 두 법인은 모두 웅진이 지분 100%를 보유한 SPC다. WJ라이프홀딩스가 자금을 조달하고, 그 자회사인 WJ라이프가 프리드라이프를 인수하는 구조다. ‘웅진→WJ라이프홀딩스→WJ라이프→프리드라이프’로 이어지는 지배구조를 짠 것이다.

관련기사

  • [단독] 프리드라이프, 대주주 VIG에 500억 출자…심의 피하려 ‘쪼개기’ 투자 정황 [시그널]

웅진의 프리드라이프 인수는 윤석금 웅진그룹 회장과 차남인 윤새봄 웅진 대표의 의지가 크게 작용했다는 전언이다. 도서 영업사원에서 2011년 재계 32위 웅진그룹을 일군 윤 회장은 프리드라이프 인수가 그룹 재건의 주춧돌이 될 절호의 기회로 판단했다고 한다. 2세 경영자인 윤 대표 역시 기존 주력 사업인 영유아 교육 사업이 경쟁 심화와 저출산에 수익성이 악화하는 상황에서 신사업 진출 기회를 모색해왔다.

  • 웅진은 프리드라이프를 토탈 라이프케어 플랫폼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웅진 계열사가 보유한 교육·IT·여가·뷰티·헬스케어 서비스와 연계해 사업 다각화에 나선단 방침이다. IB 업계 관계자는 “웅진의 방문판매 노하우를 프리드라이프에 접목하면 점유율 추가 확대도 노려볼 만하다”며 “동시에 프리드라이프 채널을 통해 웅진씽크빅(095720) 등 계열사 상품 판매가 가능해 그룹 전체 수익성이 높아지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 한편 VIG파트너스는 올 2월17일 웅진에 프리드라이프 인수를 위한 배타적 우선협상권을 부여했다. 3월 말까지 약 5주간 정밀실사가 이뤄졌고 이후 웅진은 VIG파트너스와 인수 가격과 주요 조건을 두고 협상을 벌였다. 당초 VIG파트너스는 매각가 1조 원 이상을 요구했다. 지난해 VIG파트너스는 KKR에 프리드라이프 지분 약 20%를 2000억 원에 매각했다. 당시 지분 100% 가치가 1조 원으로 평가됐다. 그러나 협상 과정에서 최근 상조 업계의 경쟁 심화, 웅진 외 마땅한 인수 후보의 부재 등으로 1000억 원 이상 양보한 것으로 전해진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