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전KPS, 자체 개발 생성형 AI '동료 전문가'로 성장

2025-02-21

한전KPS가 자체 개발한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 'KARE(KPS AI Robot Engineer·케어)'를 더욱 똑똑한 동료로 성장시키고 있다.

한전KPS는 지난해 7월 공공기관 최초로 내부 인력만으로 사내 인프라를 활용한 생성형 AI 기반 서비스 'KARE'를 구축해 이용하고 있다고 21일 밝혔다.

오픈 LLM 기반의 생성형 AI 서비스인 'KARE'는 직원들이 외부로 정보·기술 유출 걱정 없이 각종 보고서나 논문 등을 빠르게 요약·분석·번역해 업무에 활용하고 있다. 문서작성이나 아이디어 기획 과정에서도 도움을 받고 있다.

자체 개발을 통해 비용절감과 외부 기술 의존도를 낮추면서 생성형 AI를 활용한 디지털 업무혁신 성공사례로 유수 기관의 벤치마킹 발길이 이어졌다. 특히 사내망 구축으로 정보보안 문제를 해결한 선례가 되고 있다.

최근에는 지속적인 학습을 통해 다양한 기능을 추가 탑재하고 있어 더욱 눈길을 끈다. 근로자 안전을 위해 추가 개발한 '안전케어(KARE)'는 산업안전보건법과 관련된 법적 해석, 적용, 유사 사례 분석 등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현장 근로자는 손쉬운 현행법 숙지와 이에 맞는 안전 규정 준수와 사고 예방, 혹시 모를 안전사고 발생시 보다 빠르고 정확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졌다.

디지털 기반 정비훈련과 진단 기술도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가상현실(VR) 정비 훈련 서비스를 확대해 현장 실습 환경을 구현하면서 다양한 솔루션을 현실감 있게 체험하도록 해 저비용·고효율로 근로자 역량 향상 효과를 거두고 있다.

또한 내부 정비 전문가의 노하우와 AI 기술을 접목한 터빈 진동진단 시스템의 플랫폼 연계, VR 기술을 활용한 원전 RCS 계통 주요기기 정비 시뮬레이션 탑재 등 발전정비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어가고 있다.

한전KPS의 이같은 내부 R&D 인력을 활용한 자체 생성형 AI 서비스 개발 방식은 비용 절감뿐만 아니라 보안성을 강화하는 효과를 가져오면서 향후 산업·정보 보안이 중요한 공공기관과 기업에 모범적인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함께 정부 국정과제인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의 일환으로 실시하고 있는 '2024년 초거대 AI 기반 서비스 개발지원 사업'에 선정돼 구축하고 있는 '해외 에너지 사업추진 관련 법률자문 서비스'도 시범운영에 돌입하는 등 성과 검증 단계에 돌입했다.

이 서비스는 에너지 분야 해외사업 운영에 필수적인 국가별 상이한 법령 분석과 법률자문 등을 생성형 AI로 대체해 리스크 관리와 비용·시간의 혁신적 절감 지원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홍연 한전KPS 사장은 "앞으로도 생성형 AI 기반 정비분야를 특화시킨 '정비케어' 서비스 개발과 몰입도를 한층 더 높인 XR 기반 정비 훈련 콘텐츠를 추가해 디지털 정비지원 플랫폼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예정"이라며 "또한 발전정비 분야의 차별화된 AI 기반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발해 미래 정비 시장을 선도하겠다"고 말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